유엔 “테러조직에 몸값주면 안돼” 결의 채택

유엔 “테러조직에 몸값주면 안돼” 결의 채택

입력 2014-01-28 00:00
수정 2014-01-28 09:5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유엔이 알카에다를 포함한 테러 조직에 ‘몸값’을 주지 못하도록 하는 결의를 채택했다.

15개국으로 구성된 유엔안전보장이사회는 27일(현지시간) 회의를 열고 인질 석방 조건으로 납치범들이 몸값을 요구할 경우 이에 응하지 말도록 하는 내용의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승인했다.

이에 따라 193개 유엔회원국은 테러리스트들의 요구에 굴복해 몸값을 주거나 정치적 양보를 해서는 안 된다. 또 회원국은 민간부문도 유엔의 납치 방지 및 납치 대응 가이드라인을 따르도록 설득해야 한다.

그러나 이번 결의를 위반하더라도 페널티는 없다.

유엔회원국은 2001년 도입된 ‘반테러 결의’에 따라 납치범들에게 몸값을 줘서는 안되지만 일부 회원국들은 몰래 몸값을 지불해 왔다.

프랑스가 2010년 니제르에서 납치된 인질 3명을 구하기 위해 1천700만달러를 지불했다는 주장이 나와 논란이 되기도 했다.

영국이 주도한 이번 결의는 몸값을 지불하지 말자는 국제사회의 의지를 다시 한번 다지는 한편 몰래 테러리스트와 거래하는 행위를 경고하고 있다.

영국의 유엔대사인 마크 리알 그랜트는 “최근 3년동안 알 카에다 연계 조직과 이슬람극단주의 단체들이 몸값으로 챙긴 돈만 1억500만달러에 이른다”면서 “테러리스트들이 인질 납치로 돈을 모을 수 있다는 생각을 못하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서울시 마스코트 ‘해치’가 탄생 1주년을 맞이했다. 전세계 지자체 마스코트 중 가장 유명한 일본 구마모토현의 ‘쿠마몬’도 올해로 14살을 맞이했다. 우리나라 지자체들도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마스코트를 앞다투어 만들고 교체하고 있다. 이런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활용에 대한 구체적 계획이 없어 예산낭비다.
지역 정체성 홍보를 위해서 꼭 필요하다.
2 / 5
2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