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후 70년 담화에 ‘사죄’ 넣자는 일본인은 16%뿐”

“전후 70년 담화에 ‘사죄’ 넣자는 일본인은 16%뿐”

입력 2015-07-13 08:44
수정 2015-07-13 08: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침략’, ‘반성’ 반영하자는 의견은 57.4%지만 ‘사죄’는 부정적”45%, 일본의 평화국가 노선 강조해야”

일본의 전후 70년 담화에 과거 제국주의 정책에 대한 사죄의 뜻을 담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일본인은 소수라는 조사 결과가 13일 공개됐다.

니혼 TV가 10∼12일 벌인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전후 70년 담화에 ‘침략’, ‘반성’, ‘사죄’의 표현을 모두 넣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응답자는 15.5%였다.

’침략’과 ‘반성’을 반영하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은 41.9%였고 이들 세 가지 중 어느 것도 넣을 필요가 없다는 견해는 30.5%였다.

이런 결과는 일본이 ‘침략’ 전쟁을 일으킨 사실을 인정하고 이에 대해 ‘반성’하는 것에는 57.4%가 동의하지만, ‘사죄’까지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이들은 상대적으로 적은 것을 보여준다.

응답자들은 전후 70년 담화에서 강조해야 할 내용으로 일본이 전후 70년간 평화국가로서의 길을 걸어왔다는 것을 가장 많이(45.2%) 꼽았으며 전쟁에 대한 반성을 강조하자는 의견은 11.9%에 그쳤다.

조사 결과로만 본다면 일본인은 전후 70년 담화에서 역사를 반성하는 것보다는 이후 달라진 일본의 모습을 더 부각하기를 원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또 일본이 침략 전쟁을 일으킨 사실을 인정하고 이에 대해 반성하는 것 자체는 절반이 넘는 57.4%가 동의하지만, 사죄까지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이들은 상대적으로 적은 셈이다.

이번 조사는 일본 전국 2천7명을 상대로 시행됐고, 50.27%인 1천9명이 응답했다.

올해 4월 아베 총리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의 반둥회의 60주년 기념 연설과 미국 의회 상하원 합동 연설에서 전쟁에 대한 반성을 표명하고 전후 일본이 평화 국가로서 국제사회에 협력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이들 연설에서 침략을 인정하거나 식민지 지배를 사죄하지 않았으며 머지않아 발표할 전후 70년 담화도 비슷한 수준에 그칠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7일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총회에는 서울신용보증재단 손명훈 서대문지점장, 박정수 회장 등 상인회 관계자, 정재원 동장 등이 함께했다. 이번 총회는 북가좌2동 먹자골목의 상인들이 힘을 모아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받기 위한 첫걸음이었다. 무더위와 휴가철로 인해 상인들의 참석이 저조하여 아쉬움이 있었지만, 상인들은 골목상권 활성화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다. 골목상권 구획화 및 육성지원 사업은 정책 사각지대에 놓인 골목상권을 상권 단위로 체계적으로 구획화하고, 골목형상점가 지정을 통해 상권 활성화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사업이다. 골목형 상점가란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제2조제2호의2에 따라 소규모 점포들이 일정 구역에 밀집된 지역으로, 전통시장이나 일반 상점가로 지정되기 어려운 골목상권을 보호하고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2000㎡ 이내의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30개 이상(서대문구는 25개) 밀집하여 있는 구역을 말한다. 골목형상점가 지정 시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가맹이나 정부 및 지자체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