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0차 유엔총회 개막…빈곤탈출 등 새 개발목표 논의

제70차 유엔총회 개막…빈곤탈출 등 새 개발목표 논의

입력 2015-09-16 07:38
수정 2015-09-16 07:3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프란치스코 교황 25일 연설…25∼27일 유엔 개발정상회의 개최 오바마·시진핑·푸틴·카스트로 등 160여개국 정상 참석

제70차 유엔총회가 15일(현지시간) 오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개막됐다.

유럽 난민사태, 북한의 핵실험 위협, 중동 분쟁 등 세계 평화를 위해 풀어야 할 난제들을 안은 채 창설 70주년을 맞았다. 유엔의 70차 회기는 앞으로 1년간 이어진다.

기념비적 회기인 만큼 193개 회원국 가운데 160개국 정상이 유엔총회에 참석하기로 하는 진기록이 세워졌다.

이들 정상 및 정부 수반은 이번 총회의 하이라이트인 25∼27일 유엔개발정상회의에 참석한다.

정상들은 회의에서 국제사회가 오는 2016∼2030년 15년간 추진할 새로운 개발목표인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SDG)를 채택한다.

SDG에 대한 회원국 간 합의는 앞서 지난 8월에 이뤄졌다.

세계인의 가난 탈출과 배고픔 해소, 건강한 삶 보장, 양질의 교육 보장, 양성평등 달성, 위생적인 생활보장 등 17개 목표와 169개 세부 목표가 설정돼 있다.

올해 총회에서 눈길을 끄는 것은 정상들의 화려한 면면이다.

이들은 개발정상회의 기간과 이후 유엔총회 기조연설을 통해 연설에 나선다.

프란치스코 교황이 미국 방문에 맞춰 25일 유엔총회에서 연설한다. 교황이 어떤 정치적 메시지를 보낼지 주목된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외에도 미국을 국빈 방문하는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 10년 만에 유엔에 오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연단에 선다.

올해 미국과의 국교를 복원한 쿠바의 라울 카스트로 국가평의회 의장도 유엔에서 처음으로 연설한다.

북한에서는 리수용 외무상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기조연설에 나설 것으로 알려졌다.

내년 말 임기가 끝나는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으로서는 올해가 사실상 마지막 총회다.

반 총장 측은 유엔이 지난 15년간 추진해온 ‘새천년개발목표(MDGs)’를 마무리 짓고 SDG라는 새로운 어젠다를 설정한 것에 의미를 두고 있다.

유엔은 지난 11일 채택된 결의안에 따라 차기 사무총장부터 회원국의 공식 후보추천을 받고, 총회에서 후보자를 인터뷰를 하는 등 선출 절차를 투명화하기로 했다.

차기 사무총장을 노리는 예비후보와 해당 국가는 이번 총회 기간 회원국과의 접촉 면을 최대한 늘릴 것으로 예상된다. 어느 때보다도 치열한 물밑 외교전이 예상되는 총회이기도 하다.

이성배 서울시의원, 잠실 국제교류복합지구 사업 본격화로 주변 도로개선공사 시행

서울시가 추진하는 잠실 국제교류복합지구 (이하 MICE) 사업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MICE 사업 부지인 종합운동장 인근의 도로개선공사가 진행될 예정이다. 잠실 MICE 사업은 잠실 종합운동장 일대에 대규모 전시장·컨벤션·체육시설·호텔 등 핵심 시설을 유치해 향후 수십 년간 서울의 경제 성장 동력이자 미래 먹거리가 될 공간을 조성하는 약 3조원에 달하는 서울시 대규모 사업이다. 서울시의회 이성배 의원(국민의힘, 송파4)과 서울시는 오랜기간 잠실 MICE 사업에 대해 논의해 왔다. 이 의원은 “MICE 사업은 잠실 주민뿐만 아니라 서울시민 그리고 전 세계가 염원하는 사업으로 본 사업을 통해 대한민국 위상이 한층 올라갈 수 있도록 조속하지만 실속 있는 추진이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서울시에 잠실 MICE 사업 부지인 現 종합운동장역 인근 주변 도로개선공사를 통해 잠실 MICE 사업의 기반을 다지고 잠실 주민들 또한 보다 깨끗한 교통 및 주거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이 의원과 서울시가 함께 추진키로 했다. 지난 7월에는 서울시 관계자와의 회의를 개최해, MICE 사업 추진 현황과 사업의 본격 추진으로 인한 주변 도로개선공사에 대해 보고 받
thumbnail - 이성배 서울시의원, 잠실 국제교류복합지구 사업 본격화로 주변 도로개선공사 시행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