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인의원들 “힐러리 지지…인권운동 현장에 샌더스는 없었다”

흑인의원들 “힐러리 지지…인권운동 현장에 샌더스는 없었다”

입력 2016-02-12 09:40
수정 2016-02-12 09: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블랙코커스 정치행동위 공식 지지, 뉴햄프셔 대패로 위기 맞은 힐러리에 ‘천군만마’

뉴햄프셔 주 프라이머리(예비선거)의 대패로 위기를 맞은 미국 민주당 대선 주자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이 11일(현지시간) 흑인 의원들의 지지를 끌어냈다.

오는 20일과 27일 각각 열리는 네바다 주 코커스(당원대회)와 사우스캐롤라이나 주 프라이머리 등 소수인종이 향방을 결정짓게 되는 주요 경선전을 앞두고 ‘천군만마’를 얻은 격이다.

미 연방의회 흑인의원 모임인 ‘블랙 코커스’(CBC) 내 정치행동위원회는 이날 투표를 거쳐 클린턴 전 장관에 대한 지지를 공식으로 선언했다. 기자 회견에는 10명의 흑인 의원이 배석했다.

CBC의장인 G.K 버터필드(노스캐롤라이나) 하원의원은 이날 민주당 전국위원회에서 개최한 기자회견에서 정치활동위원회 멤버들의 거의 만장일치로 이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는 국내 및 외교 정책을 두루 잘 아는 대통령을 원한다”며 “우리 새 대통령은 너무 많은 미국인이 늘 지속되는 가난에 고통받고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유일하게 한 후보가 미국의 차기 대통령이 될만한 자질과 경험, 기질을 갖췄다는데 의심의 여지가 없다”며 “그 사람은 다름 아닌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마틴 루서 킹 목사와 함께 1960년대 시민불복종 운동을 전개했던 유명 흑인 운동가 출신인 존 루이스(조지아) 하원의원은 경쟁자인 버니 샌더스(버몬트) 상원의원을 겨냥해 “나는 그를 (흑인 민권운동 현장에서) 솔직히 보거나 만난 적이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나는 1963∼1966년 학생비폭력조정위원회 의장을 맡아 연좌농성과 프리덤라이즈 운동, 워싱턴 ‘백만 행진’, 셀마-몽고메리 참정권 운동행진 등에 관여했다”며 “그러나 나는 힐러리 클린턴만 만났다”고 강조했다.

실제로는 샌더스 의원도 1963년 워싱턴 ‘백만 행진’에 참석하는 등 이들 운동에 부분적으로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CBC 멤버들은 샌더스 의원의 그러한 이력이 클린턴 전 장관이 남부 주에서 과거에 했던 흑인 민권운동에 비하면 보잘 것 없다고 본다.

하킴 제프리스(뉴욕) 하원의원은 “비교가 안 된다”며 “클린턴 전 장관은 처음부터 거기에 있었지만, 샌더스 의원은 중간에 사라진 정도가 아니라 엉뚱한 쪽에 있었다”고 주장했다.

클린턴 전 장관은 다음 주에는 흑인 민권운동 지도자 알 샤프턴 목사와도 회동한다.

샌더스 의원이 지난 10일 만났던 인사다. 클린턴 전 장관은 그를 만나 흑인표 ‘굳히기’를 시도한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7일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총회에는 서울신용보증재단 손명훈 서대문지점장, 박정수 회장 등 상인회 관계자, 정재원 동장 등이 함께했다. 이번 총회는 북가좌2동 먹자골목의 상인들이 힘을 모아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받기 위한 첫걸음이었다. 무더위와 휴가철로 인해 상인들의 참석이 저조하여 아쉬움이 있었지만, 상인들은 골목상권 활성화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다. 골목상권 구획화 및 육성지원 사업은 정책 사각지대에 놓인 골목상권을 상권 단위로 체계적으로 구획화하고, 골목형상점가 지정을 통해 상권 활성화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사업이다. 골목형 상점가란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제2조제2호의2에 따라 소규모 점포들이 일정 구역에 밀집된 지역으로, 전통시장이나 일반 상점가로 지정되기 어려운 골목상권을 보호하고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2000㎡ 이내의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30개 이상(서대문구는 25개) 밀집하여 있는 구역을 말한다. 골목형상점가 지정 시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가맹이나 정부 및 지자체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