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바 국민 차분한 분위기 속 카스트로 추모…학생들 “피델 만세”

쿠바 국민 차분한 분위기 속 카스트로 추모…학생들 “피델 만세”

입력 2016-11-27 13:52
수정 2016-11-27 13:5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반체제인사들 “독재자 한 명 사라졌을 뿐…탄압·통제 강화할 수도”

쿠바 국민은 25일 오후(현지시간) 타계한 혁명의 아이콘 피델 카스트로 전 국가평의회 의장을 차분한 분위기에서 추모하고 있다고 외신이 26일 전했다.

dpa 통신에 따르면, 전날 오후 10시 29분 카스트로 의장의 별세 소식이 알려진 뒤 쿠바 수도 아바나의 식당은 모두 문을 닫았고, 시민들은 집으로 달려가 한 시대를 풍미한 카스트로 의장의 역사적인 사망 소식을 함께 슬퍼했다.

아바나 시장의 점원인 야넬라는 “피델은 우리 삶의 일부였다”면서 “누구나 언젠가는 죽지만, 우리에게 이런 순간이 올 것으로 생각하지 않았다”고 비통해했다.

병원 노동자인 디그나 마르티사는 “우리는 앞으로 100년간 카스트로 의장을 애도할 것”이라고 했다.

마르티사의 친구인 마르벨리스도 “피델은 우리에게 모든 것”이었다면서 “그는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혁명을 일으켰고 그 덕분에 가난한 우리는 모든 것을 갖게 됐다”고 덧붙였다.

AP 통신은 26일 상점이 밀집한 아바나 23번가는 쇼핑객들과 스마트폰으로 인터넷을 서핑하는 젊은이들로 평소와 다름없는 주말 풍경이었다면서도 다만 카스트로 의장의 사망 후 크게 울리던 음악 소리가 사라졌다고 전했다.

쿠바 정부는 9일간의 애도 기간 음악, 공연과 같은 연예행사를 전면 금지하고 모든 관청에 조기 게양을 지시한다고 발표했다.

AP 통신은 쿠바 기관지들이 이날만큼은 밝은 적색과 파란색 신문 제호 대신 오로지 검은 잉크로만 제작해 카스트로 전 의장을 추모했다고 보도했다.

AP 통신과 인터뷰한 대다수 아바나 시민은 충격을 받았다며 앞으로 쿠바에 어떤 일이 닥칠지 알 수 없다고 답했다.

30대 상점 주인인 하비에르 가르시아는 “쿠바의 미래는 카스트로 전 의장의 동생인 라울 카스트로 국가평의회 의장의 경제 개혁결과에 달렸다”고 말했다.

로이터 통신은 아바나 대학 학생 수 백 명이 캠퍼스에 모여 쿠바 깃발을 흔들며 “피델 만세, 라울 만세”를 외쳤다고 소개했다. 한 지도자는 “피델은 죽지 않았다”면서 “국민이 피델이고 내가 피델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혁명에 성공했으나 50년 넘게 독재하며 반대자들을 탄압한 카스트로 전 의장을 향해 비판 세력은 쓴소리했다고 dpa 통신이 전했다. 쿠바 출신 이민자들이 많이 거주하는 미국 플로리다 주 마이애미의 ‘리틀 아바나’는 현재 축제 분위기에 휩싸였다.

쿠바 반체제인사들은 카스트로 의장의 별세 후 당장 쿠바 정치 환경에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지 않으리라 전망했다. 카스트로 전 의장이 죽기 전까지 쿠바의 실력자 노릇을 했으나 동생 라울에게 10년 전 정권을 이양해 정치적 영향력이 쇠퇴한 탓이다.

쿠바 정치범 부인들의 모임인 ‘레이디스 인 화이트’(Ladies in White) 대표 베르타 솔레르는 EFE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바뀐 것은 없다”면서 “좋은 소식은 독재자가 1명으로 줄었다는 것”이라고 평했다.

그는 “라울 카스트로 의장이 형 피델만큼이나 독재자”라고 말했다.

정치범 출신인 호세 다니엘 페레르 쿠바 애국주의 연합 대표도 “앞으로 수주 내에 반체제인사와 독재정권 위험인물을 겨냥한 통제와 탄압이 강화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쿠바 정부는 28∼29일 아바나의 호세 마르티 기념관에 카스트로 전 의장 추모 공간을 차리고, 29일 아바나 혁명광장에서 공식 장례식을 거행한다.

카스트로 전 의장의 유해는 전국을 순회하고, 장례위원회는 화장한 그의 유골을 12월 4일 산티아고 데 쿠바의 산타 이피헤니아 묘지에 안장할 예정이다.

서준오 서울시의원, 공릉1단지 주거위생 개선 시범사업 직접 참여

서울시의회 서준오 의원(더불어민주당·노원4)이 지난 25일 SH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SH공사)의 ‘주거위생 개선 시범사업’ 첫 대상지인 노원구 공릉1단지아파트를 찾아 저장강박 의심세대 거주환경 개선과 특별 소독에 직접 참여했다. 이번 시범사업은 공릉1단지 임대단지 내 일부 저장강박 의심세대로 인하여, 인접 거주 세대 및 공용공간 위생이 불량해진다는 민원이 다수 발생함에 따라 SH공사에서 예산을 투입하여 진행했다. 공릉1동 주민센터 및 지역사회 자원봉사자 약 15명과 함께 서준오 의원, 그리고 공릉동을 지역구로 둔 오금란 의원(더불어민주당·노원2)이 구슬땀을 흘렸다. 노원구 공릉동에 위치한 공릉1단지 아파트는 1994년 12월에 입주한 총 1395세대가 거주하는 SH공사의 영구임대 아파트이다. 지어진 지 30년이 되어 주거환경이 열악한 상태인 탓도 있지만, 일부 저장강박 의심세대의 세대 내 과다한 적치물과 소독거부로 인한 해충 발생, 번식이 주변 주민들을 힘들게 하고 있었다. 서 의원은 매주 일요일, 우원식 국회의장(서울노원구갑)과 함께 노원구 3곳에서 현장민원실을 운영 중인데, 공릉1단지 방역이 필요하다는 민원도 여기에서 접수되었다. 유사한 민원이 지속
thumbnail - 서준오 서울시의원, 공릉1단지 주거위생 개선 시범사업 직접 참여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