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평창 동계올림픽 참석 여부를 저울질하며 외교 카드로 쓰는 데 대해 일본 언론이 “유치하다”고 비판했다.
아베 일본 총리 [AP=연합뉴스 자료사진]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아베 일본 총리 [AP=연합뉴스 자료사진]
도쿄신문은 16일 “정권의 행동 ‘유치하다’?”라는 제목의 분석 기사에서 “2년 후 도쿄 올림픽을 앞둔 일본의 총리가 평창 올림픽의 개회식에 참석하지 않으려는 기색을 보이고 있다”며 “배경에 위안부 합의를 둘러싼 양국 간의 대립이 있는 것이 틀림없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올림픽은 국가주의를 배제하는 이벤트로, 정치 이용과 국가주의를 금지하고 있다”며 “정치적인 갈등은 일단 옆에 두고 어른의 행동을 하는 것은 불가능한 것인가”라고 반문했다. 신문은 또 “이런 정권의 행동에서 유아성을 보는 것이 과한 것인가”라고 물으면서 “다음 올림픽의 개최지인 도쿄의 (고이케 유리코) 도지사에 더해 개최국인 일본의 총리가 (평창 올림픽의) 개회식에 결석하겠다면 이상한 일”이라는 극작가 사카테 요지씨의 말을 소개했다. 사카테 씨는 “한일합의를 둘러싼 외교 카드로 개회식 참석을 사용하려는 것은 아이들이 토라진 것 같은 태도를 취하는 것처럼 비친다”며 아베 총리를 비판했다.
아베 총리는 유럽 순방 중인 15일(현지시간) 불가리아 소피아에서 기자들에게 평창 올림픽 참석 여부에 대해 “국회 일정을 보면서 검토하고 싶다”는 말로 유보적인 태도를 취했다. 이와 관련 고노 다로(河野太郞) 일본 외무상은 “이대로라면 총리의 (올림픽) 참석은 어렵다”며 올림픽 참석을 위안부 문제와 연결하는 듯한 태도를 취한 바 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