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황제·차르 푸틴 新냉전의 문 열다

시황제·차르 푸틴 新냉전의 문 열다

심현희 기자
입력 2018-03-18 22:38
수정 2018-03-19 00:2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빅4’ 스트롱맨 엇갈린 명암

푸틴, 4번째 임기 ‘초장기 집권’
시진핑, 국가·군사위주석 재선출
잇단 추문에 트럼프 입지 흔들
아베, 사학재단 스캔들 ‘벼랑끝’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 등 ‘빅4’ 국가 지도자들의 명암이 2018년을 기점으로 엇갈리고 있다.
이미지 확대
푸틴 러시아 대통령(왼쪽)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AFP 연합뉴스
푸틴 러시아 대통령(왼쪽)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AFP 연합뉴스
러시아의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18일 네 번째 임기를 확정 지으며 러시아 현대사에서 이오시프 스탈린 옛소련 공산당 서기장에 이어 두 번째 장기 집권자에 올랐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지난 17일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국가주석과 중앙군사위 주석에 만장일치로 재선출되며 사실상 임기 없는 절대 권력을 확보했다.

공산·사회주의 국가는 이렇게 부활의 신호탄을 쏘아 올렸다. 러시아와 중국이 1인 독재 시대로 회귀하면서 옛소련 붕괴 이후 전 세계를 휩쓴 자유주의도 퇴조할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러시아인들의 74%는 옛소련 붕괴를 아쉬워하며 위대한 러시아의 부흥을 약속하는 푸틴 대통령을 지지했다. 중국은 옛소련 붕괴 원인을 “이념 전쟁에서 졌기 때문”으로 분석하고 당을 중심으로 한 전체 권위주의를 더욱 강화했다. 독재자의 부활에 동력을 제공한 것은 30여년 전 일어난 옛소련의 붕괴였다. 새 독재자들의 등장은 ‘신(新)냉전’이 도래했음도 알려 주고 있다. 이들은 미국과의 경쟁이나 대결을 피하지 않겠다고 공개적으로 천명해 왔다. 시 주석의 중국은 “서구식 자유주의나 자본주의를 더이상 추구하지 않겠다”며 이념과 체제를 놓고도 경쟁할 뜻을 분명히 했다. 푸틴 대통령은 대선 직전 “미국과 새롭게 무기 경쟁을 하겠다”고 TV를 통해 전 세계에 공언했다.

중·러의 두 스트롱맨이 그 힘을 극대화하고 있는 사이 자유·민주의 수호자를 자처해 온 미·일의 스트롱맨은 입지까지 흔들리고 있다. 취임 이후 정치적 악재의 늪에서 헤어나오지 못한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주말 또 하나의 ‘메모’를 만나 휘청였다. 일본의 아베 신조 총리는 자신과 부인 아키에가 연루된 사학재단 모리토모학원에 대한 헐값 국유지 불하 특혜 의혹이 되살아 나면서 벼랑 끝에 섰다.

전례없는 스트롱맨의 시대를 열었던 빅4의 엇갈린 명암은 바야흐로 지구촌의 지형을 뒤흔들려 하고 있다.

심현희 기자 macduck@seoul.co.kr
2018-03-19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