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탕카멘 무덤 뒤 밀실 없다” 네페르티티 왕비 유해도 못 찾아

“투탕카멘 무덤 뒤 밀실 없다” 네페르티티 왕비 유해도 못 찾아

임병선 기자
입력 2018-05-07 09:53
수정 2018-05-07 09:5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집트 당국이 룩소르 왕들의 무덤 중 가장 큰 투탕카멘 묘실 뒤쪽에 밀실을 발굴하려는 작업을 끝내기로 했다. 아울러 밀실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전에 정부 관리들은 3000년 된 이 소년 왕의 묘실 뒤쪽 벽에 밀실이 숨겨져 있다는 점을 “90% 확신한다”고 주장해왔다. 또 어떤 이들은 이 밀실이 네페르티티 왕비의 무덤이라고 추정하기도 했다. 그 중 일부는 또 그녀가 투탕카멘의 어머니라고 생각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제 이집트 정부는 학자들의 결론을 받아들여 더 이상 발굴 노력을 하지 않기로 했다.

원래 이 노력의 첫발은 영국 인류학자 니콜라스 리브스가 뗐다. 그는 묘실의 정밀 스캔을 통해 색바랜 흔적이나 유령이 드나드는 문이 벽 안에 숨겨져 있다고 주장했다. 2015년 그가 발간한 책 ‘네페르티티의 안장’에는 원래 상대적으로 작은 묘실이 왕비의 무덤으로 설계됐고 그녀의 유해가 묘 안쪽 깊숙한 곳에 누워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2차 세계대전 이후 처음 독일 땅에 돌아온 네페르티티 왕비의 흉상이 2005년 8월 12일 베를린 뮤지엄 아일랜드에서 일반에 공개되고 있다. AFP 자료사진
2차 세계대전 이후 처음 독일 땅에 돌아온 네페르티티 왕비의 흉상이 2005년 8월 12일 베를린 뮤지엄 아일랜드에서 일반에 공개되고 있다.
AFP 자료사진
유해는 발견되지 않았지만 그녀를 둘러싼 관심은 식지 않고 있다. 3000년 된 그녀의 흉상은 그녀를 고대 이집트 여성 가운데 가장 존재감이 뚜렷한 인물로 만들었다. 그녀 자신이 남편의 죽음과 투탕카멘 승계 사이에 이집트를 사실상 파라오처럼 통치했다고 역사가들은 보고 있다.

리브스의 선정적인 주장 때문에 일련의 레이더 스캔이 행해졌고 이집트 관리들은 그 결과를 토대로 앞서 밀실이 존재한다는 점을 “90% 확신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탈리아 토리노 대학 전문가들이 새로운 침투식 레이더 스캔 방식을 활용한 결과 이같은 결론을 확신하게 됐다. 연구진을 이끄는 프란세스코 포르셀리 박사는 “조금 실망스러울 수 있겠지만 투탕카멘 무덤의 뒤편에는 아무 것도 존재하지 않으며 다만 훌륭한 과학만이 거기 남아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칼레드 알아나니 이집트 고대유물 장관은 정부당국도 이를 받아들였다고 말했다.

임병선 선임기자 bsn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