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출생시민권 정책이 거대한 ‘원정출산 산업’ 만들었다”

트럼프 “출생시민권 정책이 거대한 ‘원정출산 산업’ 만들었다”

강경민 기자
입력 2018-11-01 11:32
수정 2018-11-01 11:3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플로리다 유세 현장서 출생시민권 폐지 드라이브…막판 선거 쟁점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서울신문 DB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서울신문 DB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31일(현지시간) 중간선거 유세 현장에서 ‘출생시민권’(birthright citizenship) 제도가 원정출산을 부추기고 있다며 이 문제를 선거 쟁점화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플로리다 주 에스테로에서 열린 공화당 지원 유세 중 출생시민권을 거론하면서 “이 정책에 따라 우리나라로 침입하는 누구라도 아이를 가지면 바로 다음 순간에 그 아이가 영원히 (미국)시민이 된다. 대단하다”라고 말했다고 AP와 블룸버그 통신이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정책이 ‘원정출산’(birth tourism)이라는 산업 전체를 창출했다. 거대한 사업”이라면서 “이는 임신한 엄마들이 아이를 태어나자마자 미국 시민으로 만들기 위해 미국으로 여행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원정출산으로 태어난) 아이들에게는 연 수십억 달러의 비용이 들어가는 미국 시민권의 모든 혜택을 누릴 자격이 즉각 주어진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인터뷰에서 미국 땅에서 태어난 아이에게 자동으로 시민권을 주는 출생시민권 제도의 폐지를 선언한 데 이어 이틀째 이 문제를 집중 부각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블룸버그 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이 공화당의 상원 다수당 유지를 돕기 위해 출생시민권을 공격하고 나선 것이라고 분석했다.

출생시민권 외에도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을 향해 오는 중미 출신 이민자 행렬(캐러밴)과 민주당의 이민 정책을 비난하면서 불법이민에 대한 유권자들의 공포심을 자극하는 데 주력했다.

그는 유세에서 “민주당은 우리나라로 캐러밴을 계속 들여오기를 원한다”면서 민주당이 의회를 장악하면 불법 이민자들과 마약에 국경 문호를 개방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플라리다 에스테로를 시작으로 남은 6일 동안 8개 주, 11곳의 유세 현장을 돌아다니는 막판 강행군을 펼치며 공화당을 지원할 계획이다.

문성호 서울시의원 “연희동 견고한 폭우 방어 태세, 연희1구역재개발조합이 주민 안전 보장 확실한 기여”

문성호 서울시의원(국민의힘, 서대문2)이 2년 전 폭우로 축대가 붕괴하는 사고가 발생했던 연희동 주민들이 이번 폭우로 지반 붕괴 등을 우려하는 민원을 전함에 있어, 직접 순찰한 결과 현재 문제는 전혀 발생하지 않았으며 특히 경사가 가파른 지역인 홍제천로2길 일대의 안전을 위해 연희동 연희1구역재개발조합에서 방벽 공사 및 기반 시설 보강으로 견고한 대비가 구축되었음을 전했다. 문 의원은 “2년 전 여름, 폭우가 쏟아지는 중에 연희동에서는 축대가 무너지는 심각한 사고가 발생한 바 있다. 다행히 매몰되거나 사고를 입은 주민은 없었으나, 인근 주민들이 대피하는 등 삶에 충격을 가했다. 그러한 사고가 있었기 때문인지 폭우경보가 있는 날이면 연희동 해당 일대 주민들의 우려가 늘 들려온다”고 설명했다. 이어서 문 의원은 “특히 연희동 홍제천로2길 일대는 경사가 가파른 탓에 폭우가 쏟아지는 날에는 물줄기 역시 빠르고 강한 힘으로 쏟아져 내려오기에 매우 위험함은 모두가 익히 아는 사실이다. 하지만 본 의원이 직접 야간에 현장을 순찰한 결과, 다행히도 미리 구축된 방벽과 벙커형 주차장의 견고하고 또 체계화된 물 빠짐 구간 구축으로 아무런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다”며 설명을
thumbnail - 문성호 서울시의원 “연희동 견고한 폭우 방어 태세, 연희1구역재개발조합이 주민 안전 보장 확실한 기여”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