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서 첫 트랜스젠더 광역의원 탄생…공무원·댄서 이력

일본서 첫 트랜스젠더 광역의원 탄생…공무원·댄서 이력

신성은 기자
입력 2019-04-09 09:54
수정 2019-04-09 09:5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지난 7일 실시된 일본의 지방선거에서 트렌스젠더로는 사상 처음으로 광역의회 의원(홋카이도 의회 의원)에 당선된 후치가미 아야코(44) 씨가 지난달 18일 삿포로(札晃)시에서 거리 유세를 하는 모습. 2019.4.9  교도=연합뉴스
지난 7일 실시된 일본의 지방선거에서 트렌스젠더로는 사상 처음으로 광역의회 의원(홋카이도 의회 의원)에 당선된 후치가미 아야코(44) 씨가 지난달 18일 삿포로(札晃)시에서 거리 유세를 하는 모습. 2019.4.9
교도=연합뉴스
지난 7일 실시된 일본의 통일 지방선거에서 트랜스젠더 후보가 사상 처음으로 광역의회 의원에 당선됐다고 마이니치신문 등이 9일 보도했다.

주인공은 남성으로 태어난 뒤 성별을 여성으로 바꾼 후치가미 아야코(44) 씨다.

제1야당 입헌민주당 소속인 그는 홋카이도(北海道) 의회 의원 선거의 삿포로(札晃)시 히가시(東)구 선거구에서 1만8천여표를 얻어 당선됐다.

후치가미 씨는 홋카이도대 대학원을 졸업한 뒤 농림수산성 직원으로 일하다 퇴직해 삿포로의 번화가 스스키노 거리의 클럽에서 댄서로 일했다.

댄서 일을 하면서부터 원래 이름인 ‘다이케’(大介)를 여성 이름인 아야코로 바꾸며 자신의 성(性) 정체성을 공개했다.

댄서로 인기를 끌던 후치가미 씨가 정치에 눈을 돌리게 된 것은 클럽에서 함께 일하던 동료가 스스로 목숨을 끊은 일이 계기가 됐다. 후치가미 씨는 출마의 변으로 성적 소수자에 편견 없는 사회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그는 자신의 홈페이지에 “남성도, 여성도, LGBT(성소수자)도 자기다움을 살려서 살아갈 수 있는 사회를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선거운동 기간 주요 공약으로 동성 커플을 공적으로 인정하는 ‘파트너십 제도’의 보급을 내세웠다.

후치가미 씨는 당선 후 기자들에게 “성소수자가 활약하는 풍성한 사회가 되도록 노력해 그동안 신세를 졌던 사람들에게 은혜를 갚겠다”고 말했다.

김지향 서울시의원 “지상은 39도, 지하도 31도 넘었다···서울지하철 폭염 재난수준”

117년 만의 기록적 폭염 속에서 서울지하철 일부 역사가 체감온도 40도에 가까운 ‘찜통’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김지향 서울시의원(국민의힘, 영등포 제4선거구)은 서울교통공사로부터 제출받은 7월 22일부터 24일까지 서울지하철 각 호선 주요 역사 17개 역을 대상으로 오전 8시, 오후 3시, 오후 6시의 온도를 표본 측정자료를 분석한 결과, 옥수역의 경우 24일 오후 3시 39.3도, 오후 6시 38.1도를 기록하는 등 시민들은 ‘찜통역’을 경험하고 있다고 밝혔다. 2호선 성수역 또한 24일 오후 39도를 기록하는 등 매우 높은 온도를 기록했으며 조사한 3일간 오전 8시 온도 역시 30도를 넘겨 오후 기록보다는 낮지만, 서울지하철 기준온도(가동기준온도 29℃)보다 높은 것을 확인했다. 조사 결과, 지하역사인 아현역(최고 31.2도), 한성대입구역(최고 31.5도), 서울역(30.5도)도 조사 기간 내 오후뿐만 아니라 아침 시간대에도 이미 29~30도를 기록하여 시민들이 온종일 더위에 노출되고 있으며, 실제 체감온도는 측정치보다 훨씬 높았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지상역사에 비해 지하역사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이지만, 밀폐 구조로 인해 공기가
thumbnail - 김지향 서울시의원 “지상은 39도, 지하도 31도 넘었다···서울지하철 폭염 재난수준”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