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극보수가 숭배하던 ‘Q’의 정체… AI는 개발자·한국계 미국인 지목

美 극보수가 숭배하던 ‘Q’의 정체… AI는 개발자·한국계 미국인 지목

안동환 기자
안동환 기자
입력 2022-02-21 20:32
수정 2022-02-22 01:5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큐어논’ 창시자가 쓴 게시물 분석
新나치주의·케네디 음모론 주장
90% 확률에도 둘 다 “난 Q 아냐”

인공지능(AI)은 큐어논의 창시자 ‘큐’(Q)의 실제 인물로 한국계 미국인과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소프트웨어 개발자를 지목했다. 큐어논은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을 지지하는 음모론자들이 결집한 대안 우파로 꼽힌다.

미국 뉴욕타임스(NYT), 영국 인디펜던트는 20일(현지시간) 프랑스 언어학자들과 스위스 스타트업이 익명으로 활동해 온 Q의 게시물과 소셜미디어 메시지를 분석한 결과 Q는 군 수뇌부나 정부 고위 당국자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도했다.

Q가 쓴 첫 게시물은 2017년 10월 인터넷에서 퍼진 “미 정부 내 사탄 숭배자가 암약하고 있다”는 글이었다. Q는 민주당과 정부 내 기득권 세력이 만든 ‘딥 스테이트’가 미국을 통제 중이며, 트럼프의 출마가 미국을 구하기 위한 행동이라는 취지의 주장을 폈다. Q의 주장에 보수 세력이 결집했고, 그를 신봉하는 이들은 ‘큐어논’이라고 불렸다.

단 한 번도 정체가 공개되지 않은 Q는 그동안 군이나 정부 고위 관계자로 추정됐다. AI와 언어분석 프로그램으로 Q가 남긴 10만 단어 분량의 글과 유력 후보로 거론된 13명의 글을 비교해 분석한 결과 두 사람이 Q로 지목됐다.

신(新)나치·백인 우월주의 성향의 인터넷 커뮤니티인 ‘8kun’을 운영하는 한국계 미국인 론 왓킨스(34)와 남아공 소프트웨어 개발자 폴 퍼버(55). 왓킨스는 미 애리조나주 의회 선거에 공화당 후보로 등록했다. 퍼버는 존 F 케네디 대통령 암살 사건 등과 관련해 오랫동안 음모론을 펴 왔다.

박석 서울시의원, 2025 대한민국사회공헌대상 광역의정대상 수상

서울시의회 박석 의원(국민의힘, 도봉3)은 6일 부천시의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2025 대한민국사회공헌대상 및 제26회 대한민국오늘문화대상’ 시상식에서 광역의정대상을 수상했다. 이번 시상식은 사단법인 대한민국연예예술인연합회(총재 남상숙, 이사장 황계호), 한국언론대표자협의회, 대한모델협회 등이 공동으로 주최·주관하며, 사회 각 분야에서 사회적 책임과 공공성을 실천해온 인물을 정례적으로 선정해 시상하는 행사다. 조직위원회는 박 의원이 지역 현안을 직접 챙기며 주민 삶의 질 향상과 지역 발전에 기여한 점을 높이 평가했다고 밝혔다. 특히 일상생활에 밀접한 교통체증 해소, 급수 환경 개선을 비롯해, 교육·복지·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지역 맞춤형 정책을 추진해 주민 체감도를 높였다는 점이 수상 배경으로 꼽힌다. 또한 저소득·다문화 아동을 위한 영어교실 출범을 위한 민·관 협력을 주도하고, 장애인 대상 나눔 행사 지원, 고령층을 위한 디지털동행플라자 유치 등 지역 기반의 사회공헌도 지속적으로 이어오고 있다. 박 의원은 “2년 연속 수상하게 되어 영광”이라며 “앞으로도 지역 곳곳의 어려움을 외면하지 않고, 자원봉사와 사회공헌의 가치를 실천하는 의정활동으로 서울시와
thumbnail - 박석 서울시의원, 2025 대한민국사회공헌대상 광역의정대상 수상

연구자들은 두 사람이 Q와 일치할 확률을 90% 이상으로 제시했다. NYT는 두 명 모두 “난 Q가 아니다”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Q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대선 패배 이후 활동을 중단한 상태다.
2022-02-22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