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룸버그 “바이든, 4월 하순 尹대통령 국빈방문 초청”

블룸버그 “바이든, 4월 하순 尹대통령 국빈방문 초청”

이경주 기자
이경주 기자
입력 2023-02-16 16:25
수정 2023-02-16 16:2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실현되면 이명박 이후 12년만에 국빈방문
우리나라 대통령실 “미국 공식입장 아냐”
이미지 확대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한미정상회담 기간 중인 지난해 5월 21일 서울 용산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열린 환영만찬에서 건배하고 있다. 2022.5.21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한미정상회담 기간 중인 지난해 5월 21일 서울 용산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열린 환영만찬에서 건배하고 있다. 2022.5.21 연합뉴스
조 바이든 대통령이 오는 4월 하순에 윤석열 대통령을 국빈 만찬에 초대할 것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블룸버그통신은 15일(현지시간)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바이든 대통령이 올해 봄에 윤 대통령과의 백악관 국빈 만찬을 주최할 예정”이라며 “(윤 대통령의) 방미 계획은 4월 하순이지만 시기는 여전히 유동적”이라고 전했다.

윤 대통령의 미국 국빈 방문이 성사되면 2011년 이명박 전 대통령 이후 12년 만이다. 바이든 대통령 취임 이후로는 지난해 12월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의 방미에 이은 두번째 국빈이 된다.

미국은 통상 한 해에 2~3개국 정상을 국빈으로 초청하는데 올해 국빈은 한국, 인도일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국빈 방문 일정은 정상회담, 의장대 사열, 공식 환영식, 예포 발사, 국빈 만찬, 고위급 환영·환송식 등으로 이뤄진다. 숙소는 영빈관인 ‘블레어 하우스’다. 미 의회의 결정이지만 의회 연설이 함께 진행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우리나라 정부는 올해 한미동맹 70주년을 맞아 윤 대통령의 방미를 추진해 왔다. 워싱턴DC 현지에서도 한미 양측의 협의가 긍정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분위기와 함께 윤 대통령의 4월 하순 방미설에 무게가 쏠리고 있다. 하지만 바이든 대통령의 바쁜 일정상 수개월 전부터 초청 일정을 확정하기는 힘든 상황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우리나라 대통령실은 이날 언론 공지를 통해 “모 매체에서 보도한 윤 대통령 미국 국빈 방문 관련 기사 내용은 미 행정부의 공식 입장이 아닌 것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정상회담 일정과 형식을 협의 중인 가운데 관련 내용이 언론에 보도되는 것에 대해 한미가 모두 신중한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풀이된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정상회담 관련 사안이 확정되기에는 너무 이르다”고 말했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7일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총회에는 서울신용보증재단 손명훈 서대문지점장, 박정수 회장 등 상인회 관계자, 정재원 동장 등이 함께했다. 이번 총회는 북가좌2동 먹자골목의 상인들이 힘을 모아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받기 위한 첫걸음이었다. 무더위와 휴가철로 인해 상인들의 참석이 저조하여 아쉬움이 있었지만, 상인들은 골목상권 활성화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다. 골목상권 구획화 및 육성지원 사업은 정책 사각지대에 놓인 골목상권을 상권 단위로 체계적으로 구획화하고, 골목형상점가 지정을 통해 상권 활성화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사업이다. 골목형 상점가란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제2조제2호의2에 따라 소규모 점포들이 일정 구역에 밀집된 지역으로, 전통시장이나 일반 상점가로 지정되기 어려운 골목상권을 보호하고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2000㎡ 이내의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30개 이상(서대문구는 25개) 밀집하여 있는 구역을 말한다. 골목형상점가 지정 시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가맹이나 정부 및 지자체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블룸버그통신도 미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대변인이 논평 요청에 답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