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밀듯 밀려온다…블링컨 와 국경 높이기 전 미국 가려는 캐러밴

물밀듯 밀려온다…블링컨 와 국경 높이기 전 미국 가려는 캐러밴

임병선 기자
입력 2023-12-25 14:22
수정 2023-12-25 15:4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타파출라 AP 연합뉴스
타파출라 AP 연합뉴스
성탄 전날(현지시간) 과테말라 국경에 가까운 멕시코 남부 타파출라를 출발해 북쪽 미국 국경으로 향하는 난민 캐러밴 모습이다. 이날 하루만 베네수엘라, 쿠바, 멕시코 등 출신 이민자들이 미국 국경을 향해 행진하기 시작했다고 AP 통신이 전했다. AP는 6000명이라 했고, 영국 BBC는 8000명이라고 전했다. ‘빈곤 엑소더스(탈출)’이라고 적힌 플래카드 오른쪽에 십자가 모양 조형물을 어깨에 인 채 행렬을 선도하는 남성이 눈길을 붙든다.

이들은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 등 미국 장관 일행이 오는 27일 멕시코시티에 도착해 미국 국경에 몰려드는 이민자 급증에 대처하기 위해 국경 통제를 강화하는 새로운 협정을 체결하기 전에 미국 땅에 발을 들이겠다는 일념으로 이렇게 몰려든다는 것이다.

미국 국무부는 블링컨 장관 외에 알레한드로 마요르카스 국토안보부 장관, 엘리자베스 셔우드랜들 국토안보보좌관 등이 안드레스 마누엘 로페스 오브라도르 대통령과 만나 국경 안보 문제의 해결 방안 등을 논의한다고 지난 23일 밝혔다.

멕시코 국경을 이용한 불법 이민자들의 미국 유입 문제는 내년 11월 미국 대통령선거의 중요 쟁점이자 의회의 당면 현안이 돼 미국의 발 걸음이 빨라졌는데 불법 이주민들의 마음도 다급해진 것이다.

미 세관국경보호국(CBP)에 따르면 멕시코 국경을 통해 미국으로 들어오는 이민자 수가 이달 들어 하루 약 1만명을 넘기는, 전례 없는 급증을 보이고 있다. 미국 회계연도 지난해와 올해 모두 200만명씩이 미국 국경에 당도한 것으로 파악됐다. 미 국토안보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 9월에만 20만명 이상 미국과 멕시코 국경을 불법으로 넘었는데 최근 급증하는 형국이다.

온두라스 이민자 호세 산토스는 로이터 통신에 조직범죄단이 살해하겠다고 위협해 탈출했다고 털어놓았다. “겁에 질려 멕시코까지 오기로 결심했는데 막상 와보니 미국에 갈 수 있겠다는 희망이 생겼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7일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총회에는 서울신용보증재단 손명훈 서대문지점장, 박정수 회장 등 상인회 관계자, 정재원 동장 등이 함께했다. 이번 총회는 북가좌2동 먹자골목의 상인들이 힘을 모아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받기 위한 첫걸음이었다. 무더위와 휴가철로 인해 상인들의 참석이 저조하여 아쉬움이 있었지만, 상인들은 골목상권 활성화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다. 골목상권 구획화 및 육성지원 사업은 정책 사각지대에 놓인 골목상권을 상권 단위로 체계적으로 구획화하고, 골목형상점가 지정을 통해 상권 활성화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사업이다. 골목형 상점가란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제2조제2호의2에 따라 소규모 점포들이 일정 구역에 밀집된 지역으로, 전통시장이나 일반 상점가로 지정되기 어려운 골목상권을 보호하고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2000㎡ 이내의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30개 이상(서대문구는 25개) 밀집하여 있는 구역을 말한다. 골목형상점가 지정 시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가맹이나 정부 및 지자체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앞서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은 21일 오브라도르 멕시코 대통령과 전화통화를 갖고 양국 간 국경에서의 법 집행 강화가 시급하다는 데 뜻을 같이했는데 오브라도르 대통령은 23일 이민 문제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며 미국과 힘을 합칠 것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