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도 대미 보복관세 90일 간 유예 발표…협상 통한 해결책 모색 우르줄라 폰 데어 레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이 10일(현지시간) 브뤼셀 EU 본부에서 기자회견하고 있다. 브뤼셀 AP 뉴시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EU도 대미 보복관세 90일 간 유예 발표…협상 통한 해결책 모색
우르줄라 폰 데어 레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이 10일(현지시간) 브뤼셀 EU 본부에서 기자회견하고 있다. 브뤼셀 AP 뉴시스
유럽연합(EU)이 미국의 상호관세 시행에 맞춰 보복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지만 하루 만인 10일(현지 시간) 이를 철회했다. 상호관세 시행 시기가 연기된 만큼 불필요하게 미국을 자극하지 않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10일(현지시간) 성명에서 90일간 보복 관세 조치를 보류하기로 했다며 “(미국에) 협상의 기회를 제공하고 싶다”고 했다. 이어 “EU는 미국과 건설적 협상에 계속 전념할 것이며 마찰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상호 이익이 되는 무역을 달성하는 것이 목표”라고 강조했다.
전날 EU는 미국의 철강·알루미늄 관세에 대응하고자 15일부터 미국산 상품에 보복관세를 부과한다고 결정했다. 이는 미국의 잇따른 관세 부과 결정에 대한 EU 차원의 첫 보복 조치였다.
그러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전날 갑작스럽게 중국에 대한 관세를 125%로 올리는 대신, 미국과 협상에 나선 다른 나라에 부과한 상호관세는 90일간 유예한다고 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다만 EU는 협상 불발에도 대비한다는 입장이다.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은 “협상 결과가 만족스럽지 않으면 (철강 관세에 대한) 보복 조치가 발효될 것”이라며 “추가적인 보복 조치에 대한 준비 작업은 계속된다”고 했다.
한편 중국은 미국의 대중국 ‘관세폭탄’ 맞대응 카드로 할리우드 영화 수입 축소를 꺼냈다. 이날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중국 국가영화국이 “미국 영화 수입량을 적절히 줄일 것”이라고 했다고 보도했다.
국가영화국은 홈페이지에 “미국 정부가 중국에 관세를 함부로 부과하는 잘못된 행위는 국내 관객의 미국 영화에 대한 호감도를 더욱 낮출 것”이라며 “우리는 시장의 원칙과 관객의 선택을 존중해 이같이 조치하겠다”고 설명했다.
중국은 쿼터제를 통해 자국 내에서 상영되는 외국 영화 수를 제한하고 있다.
최영권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