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합 4곳 미점령지도 영유권 ‘철회’
크림반도 인정 조건, 한발 물러서
‘양보’ 지렛대로 美에 더 요구할 듯
밴스 “양측 휴전 안 하면 손 뗄 것”
젤렌스키 “크림반도 절대 못 준다”

자포리자 AP 연합뉴스
러 공습받은 자포리자 주택가
22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남동부 자포리자의 주택가에서 경찰이 러시아군의 공습으로 다친 개를 돌보고 있다. 이날 공습으로 자포리자에서 최소 1명이 사망하고 어린이 5명 등 38명이 부상당했다.
자포리자 AP 연합뉴스
자포리자 AP 연합뉴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미국 주도의 평화회담 진전을 위해 현 전선에서 우크라이나 공격을 중단하는 방안을 내놓았다. 푸틴 대통령의 제안은 크림반도의 러시아 합병을 인정하는 등 자국에 유리한 조건이 담긴 미국의 ‘최종 제안’이 우크라이나에 전달된 뒤 알려졌다.
미 온라인 매체 액시오스는 23일(현지시간) 러시아가 2014년 침공한 크림반도의 러시아 합병을 인정하고 2022년 전쟁 이후 통제하고 있는 4개 지역도 비공식적으로 인정하는 미국의 제안이 우크라이나에 전달됐다고 전했다. 대신 러시아가 4개 병합지 가운데 아직 장악하지 못한 미점령 지역에 대한 영유권 주장을 철회하고 현재 전선을 동결해 더이상의 추가 침공은 하지 않는다는 조건이다.
그간 푸틴 대통령은 종전 조건으로 우크라이나 도네츠크와 루한스크, 헤르손, 자포리자 등 4개 지역 전체를 러시아 영토로 인정해 달라고 요구했다. 이번에 크림반도를 공식 영토로 인정받는 조건으로 한발 물러선 평화안을 내놓은 것이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푸틴 대통령이 이번 ‘양보’를 지렛대로 미국에 더 많은 요구를 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오는 30일 취임 100일을 맞아 성과로 내놓고자 우크라이나에 양보 압박을 가하고 있다고도 매체는 전했다.
러시아군은 우크라이나 4개 지역 상당 부분을 점령하고 지난해 3월 러시아 대선도 치렀지만 아직 완전하게 통제하지는 못한 실정이다. 러시아는 지난해 8월 우크라이나가 침공한 쿠르스크 지역을 99.5% 회복했다며 쿠르스크 수복 작전이 완료되면 전쟁을 끝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날 영국 런던에서 영국, 미국, 유럽연합(EU), 우크라이나가 참여하는 평화회담이 열리는 가운데 미국 측 제안 내용이 공개됐다. 여기에는 크림반도의 러시아 영토 인정 등 현재 전선의 동결뿐만 아니라 우크라이나의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 가입 금지와 대러시아 제재 완화, 미러 경제협력 강화 등의 조건도 담겼다. 인도를 방문 중인 JD 밴스 미 부통령은 이날 “미국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에 분명한 제안을 했다”면서 “받아들이지 않으면 미국은 손을 뗄 것”이라며 합의를 압박했다. 또 “이는 우크라이나와 러시아가 현재 소유한 영토 일부를 포기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어떤 상황에서도 러시아의 크림반도 점령을 인정하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크림반도는 우리 영토이며 러시아 점령을 인정하는 것은 우리 헌법을 위반하는 일”이라고 주장했다.
2025-04-24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