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도 속 프란치스코 교황 장례미사
122년 만에 바티칸 외부 성당 안장비문엔 ‘프란치스쿠스’ 이름만 적어

바티칸 EPA 연합뉴스
바티칸 성베드로 광장… ‘손뼉’ 치며 교황과 마지막 인사
26일(현지시간) 엄수된 프란치스코 교황의 장례미사에 참석한 가톨릭 신자와 추모객들이 바티칸 성베드로 광장을 가득 메우고 있다. 이날 운집한 약 25만명의 추모객은 프란치스코 교황이 누운 목관이 성베드로 대성당 밖으로 천천히 운구되자 손뼉을 치며 교황을 추모했다. 이탈리아에서는 장례식에서 고인의 명복을 빌며 박수를 치는 관습이 있다.
바티칸 EPA 연합뉴스
바티칸 EPA 연합뉴스
‘가난한 자의 신부’로 불리던 프란치스코 교황의 장례미사가 26일(현지시간) 바티칸 성베드로 광장에서 엄수됐다. 전 세계의 애도 속에 ‘프란치스쿠스’라는 이름만 남기고 영면에 들었다.
이날 오전 10시 십자가와 성모마리아를 뜻하는 ‘M’이 적힌 목관이 성베드로 대성당을 나와 광장의 제단으로 향하면서 미사가 시작됐다. 조문객들은 관습대로 손뼉을 치며 “바로 성인(聖人)으로”라는 구호를 외쳤다. 장례미사를 집전한 조반니 바티스타 레 추기경은 “교황은 늘 ‘벽이 아니라 다리를 놓으라’고 했다. 교회가 모든 사람의 집이자 신앙과 무관하게 모든 이에게 몸을 굽히고 상처를 치유하는 곳이라고 확신했다”고 강조했다. 미사는 2시간 10분가량 진행됐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등 국가원수 약 50명과 130여개국 대표단이 바티칸을 찾아 애도했다. 한국 정부에서는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단장으로 하는 민관 합동 조문사절단을 파견했다. 장례미사에 25만명, 운구 행렬에 15만명 등 최소 40만명이 교황의 마지막 길을 배웅했다.
교황의 유해는 전용 차량 ‘파파모빌’에 실려 오후 1시쯤 로마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당에 도착했다. 생전 그는 성베드로 대성당 대신 평소 즐겨 찾던 이곳에 묻히기를 희망했다. 교황이 바티칸 외부에 안장된 것은 1903년 선종한 레오 13세의 로마 라테라노 대성당 안치 이후 122년 만이다. 그는 관례를 거부하고 목관 하나만 사용하라고 요구했고 비문에도 라틴어 교황명인 ‘프란치스쿠스’만 적으라고 당부했다. 교황의 무덤은 27일 일반에 공개됐다.
이날 뉴욕타임스(NYT)는 “‘노벤디알리’로 불리는 9일의 애도 기간이 다음달 4일 끝나고 이르면 6일부터 후임자 선출을 위한 콘클라베(추기경단 비밀회의)가 시작된다”고 전했다.
2025-04-28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