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호주에서 ‘양털 조끼’라며 버젓이 판매된 제품이 알고 보니 고양이 모피로 만들어졌다는 사실이 밝혀져 충격을 주고 있다. 문제가 된 패션 브랜드 ‘서튼스 어그’(Suttons UGG)의 어린이용 조끼. Collective Fashion Justice 제공
호주에서 ‘양털 조끼’라며 버젓이 판매된 제품이 알고 보니 고양이 모피로 만들어졌다는 사실이 밝혀져 충격을 주고 있다.
26일 호주 공영 ABC 방송에 따르면 호주의 패션 윤리 단체인 ‘콜렉티브 패션 저스티스’(Collective Fashion Justice)는 빅토리아주에서 수입이 금지된 고양이 모피 의류가 판매되는 것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단체가 영국의 섬유 분석 업체인 ‘마이크로텍스’에 패션 브랜드 ‘서튼스 어그’(Suttons UGG)의 어린이용 조끼를 분석 의뢰한 결과, 시중에서 ‘100% 호주산 양가죽 또는 양모’라고 표기되어 판매된 이 제품이 실제로는 고양이, 토끼 모피로 만들어졌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ABC는 “서튼스 어그는 호주의 정통 어그 부츠 브랜드 ‘UGG Since 1974’와는 관련이 없다”고 전했다.
시드니와 멜버른에 매장을 두고 있는 서튼스 어그는 ABC에 보낸 성명에서 조끼의 라벨이 “잘못된 것”이라고 인정했다.
서튼스 어그 관계자는 “제조업체로부터 조끼가 ‘특수한 종류의 모피’로 제작됐다는 말을 들었다”면서도 “업체로부터 ‘그 모피에 고양이 모피가 포함되었는지는 100% 확신할 수 없다’는 답변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호주에서 ‘양털 조끼’라며 버젓이 판매된 제품이 알고 보니 고양이와 토끼 털로 만들어졌다는 사실이 밝혀져 충격을 주고 있다. 문제가 된 패션 브랜드 ‘서튼스 어그’(Suttons UGG)의 어린이용 조끼. Collective Fashion Justice 인스타그램 캡처
이 같은 사실이 드러나자 동물단체들과 호주의 동물권 주장 정당인 동물정의당은 빅토리아주 전역에서 모든 동물 모피의 판매를 금지하고, 해외에서 생산된 모피의 수입을 전면금지하는 조치를 다시 촉구하고 나섰다.
콜렉티브 패션 저스티스 창립자 에마 하칸손은 소비자들이 동물 모피가 포함된 제품을 구별할 수 있는 몇 가지 특징을 제시하기도 했다. 그는 “털 끝이 뭉툭하지 않고 가늘게 퍼져 있다면 동물 털일 가능성이 높다”며 “털의 중간 부분을 자세히 살펴보면 피부가 붙어 있을 수 있는데, 인조 모피라면 짜인 천이 뒤쪽에 부착되어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인조 모피는 빛나는 방식도 약간 다르기 때문에 이를 통해서도 구별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호주 정부는 지난 2004년 고양이와 개 모피의 수입과 수출을 금지한 바 있다. 호주 세관 당국은 “금지 조치가 도입된 이후 불법 수입된 개나 고양이 모피가 압수됐다는 보고는 없었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