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전 미국 시카고에 사는 가정주부 트레이시 스콧이 뒷좌석에 아이들을 태우고 운전하고 있었다. 그때 아이들이 “엄마, 저기 불쌍한 아줌마가 있어요!”라고 외쳤다. 갓길에 노숙자로 보이는 여성이 서있었다. 트레이시는 급하게 차를 돌려 세웠다. 그리고는 그 여성에게 과자, 물, 햄버거 상품권, 격려 메시지 등이 담긴 봉투를 건넸다. 그 여성은 트레이시의 손을 꼭 잡고 “고맙습니다”라고 인사했다. 트레이시는 “별것 아닙니다”라는 말과 함께 바로 자리를 떴다.
시카고트리뷴 보도에 따르면 시카고 ‘파크커뮤니티교회’ 신도인 트레이시는 올 들어 15차례나 이 같은 ‘즉석 선행’을 베풀었다. 이런 선행은 이 교회의 ‘선행 독려 정책’에서 비롯됐다. 이 교회 목사는 올 1월부터 십일조(소득의 10% 헌금) 중 일부를 신도들에게 되돌려주면서 “직접 불쌍한 이웃을 찾아 도우라”고 권유했다. 일요일 예배 시작 전에 최소 2달러가 담긴 봉투를 입장하는 신도들에게 일일이 나눠주기 시작한 것이다. 이 목사는 설교에서 “헌금을 내는 것만으로 기독교적 자선을 행했다고 만족해선 안 된다”고 취지를 설명했다.
뜻하지 않게 봉투를 받아든 신도들은 처음엔 어떤 식으로 누구를 도와야 할지 몰라 난감했다. 그때 누군가가 돌려받은 일부 십일조에 자기 돈을 좀더 보태서 노숙자를 돕는 작은 일부터 시작하는 게 어떠냐는 아이디어를 냈다. 그로부터 8개월째인 지금 신도들은 저마다 능숙한 ‘선행 선수’들이 다 됐다.
결과는 기대 이상이라고 신도들은 입을 모은다. 틈날 때마다 아이들과 정성스럽게 음식을 포장해서 노숙자들을 찾아 나선다는 트레이시는 “음식을 받는 분들이 하나같이 내 손을 꼭 잡고 눈물을 글썽이면 주는 사람도 같이 눈물이 난다”고 말했다.
이 미국 교회의 진정한 기독교적 정책을 접하고 감동에 젖어있던 12일 한국 내 최대 개신교단에서 십일조를 내지 않는 교인에 대해 자격정지를 추진한다는 소식이 태평양을 건너 왔다.
워싱턴 김상연 특파원
carlos@seoul.co.kr
시카고트리뷴 보도에 따르면 시카고 ‘파크커뮤니티교회’ 신도인 트레이시는 올 들어 15차례나 이 같은 ‘즉석 선행’을 베풀었다. 이런 선행은 이 교회의 ‘선행 독려 정책’에서 비롯됐다. 이 교회 목사는 올 1월부터 십일조(소득의 10% 헌금) 중 일부를 신도들에게 되돌려주면서 “직접 불쌍한 이웃을 찾아 도우라”고 권유했다. 일요일 예배 시작 전에 최소 2달러가 담긴 봉투를 입장하는 신도들에게 일일이 나눠주기 시작한 것이다. 이 목사는 설교에서 “헌금을 내는 것만으로 기독교적 자선을 행했다고 만족해선 안 된다”고 취지를 설명했다.
뜻하지 않게 봉투를 받아든 신도들은 처음엔 어떤 식으로 누구를 도와야 할지 몰라 난감했다. 그때 누군가가 돌려받은 일부 십일조에 자기 돈을 좀더 보태서 노숙자를 돕는 작은 일부터 시작하는 게 어떠냐는 아이디어를 냈다. 그로부터 8개월째인 지금 신도들은 저마다 능숙한 ‘선행 선수’들이 다 됐다.
결과는 기대 이상이라고 신도들은 입을 모은다. 틈날 때마다 아이들과 정성스럽게 음식을 포장해서 노숙자들을 찾아 나선다는 트레이시는 “음식을 받는 분들이 하나같이 내 손을 꼭 잡고 눈물을 글썽이면 주는 사람도 같이 눈물이 난다”고 말했다.
이 미국 교회의 진정한 기독교적 정책을 접하고 감동에 젖어있던 12일 한국 내 최대 개신교단에서 십일조를 내지 않는 교인에 대해 자격정지를 추진한다는 소식이 태평양을 건너 왔다.
워싱턴 김상연 특파원
carlos@seoul.co.kr
2013-08-13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