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공룡’ 때리던 백악관, 총기사고 뒤 관계자 부른 까닭

‘IT공룡’ 때리던 백악관, 총기사고 뒤 관계자 부른 까닭

김민석 기자
김민석 기자
입력 2019-08-11 17:08
수정 2019-08-11 17:0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온라인에서 극단주의 예방법 찾아라”

“좌편향이고 나를 차별한다”며 반독점 조사 등 정보기술(IT) 분야 거대 기업들 때리기를 노골화하던 도널드 트럼프 미 정부가 지난주 두 건의 총격사건 뒤 이들 기업 관계자들을 백악관으로 불렀다. 온라인 상에서 이런 일을 막을 대책을 이들 기업에게 요구하기 위해서다.
이미지 확대
<yonhap photo-0729=“”> FILE - In</yonhap>
FILE - In FILE - In this May 1, 2019, file photo, a person walks past a Google sign in San Francisco. A federal appeals court has rejected a settlement in a class-action lawsuit alleging that Google spied on users‘ online activity using tracking “cookies,” even when privacy settings were set to prevent the snooping. A three-judge panel ruled Tuesday, Aug. 6, that a Delaware judge erred in approving the settlement in 2017. (AP Photo/Jeff Chiu, File)/2019-08-07 06:14:39/ <연합뉴스
10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백악관은 전날 구글·마이크로소프트·페이스북·트위터·레딧 고위 관계자들을 초청해 비공개 회담을 가졌다. 뉴욕에서 모금활동을 한 뒤 뉴저지주 골프장에서 휴가를 보내기 위해 떠난 트럼프 대통령은 참석하지 않았다.

최근 텍사스주와 오하이오주에서 31명을 목숨을 빼앗은 총격사건이 일어난 가운데 이 자리에서는 극단주의자들을 온라인에서 확인하고 막는 방법에 대해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총격 직후 “불안한 마음을 급진적으로 만드는 장소를 제공했다”며 소셜미디어를 비난했으며, 총격범 등이 공격을 시작하기 전에 탐지할 수 있는 도구를 기업과 함께 개발하라고 법무부에 지시했다.

저드 디어 백악관 대변인은 성명을 내고 “이날 논의는 기술이 잠재적 위험을 식별하고 잠재적 폭력성을 드러내는 개인을 구제해 국내 테러에 맞설 방법에 집중했다”면서 “우리는 인터넷과 소셜미디어 회사들이 언론의 자유를 침해하지 않으면서 폭력적인 극단주의에 대처하고 위험에 처한 개인들을 돕는 노력을 지속할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소셜미디어 기업들의 단체인 인터넷협회는 이날 회의가 생산적이었다고 평가했다. 마이클 베커먼 회장은 성명에서 “회사들은 혐오스럽고 폭력적, 극단주의적인 콘텐츠가 확산되는 것을 막기 위해 플랫폼상에 자동화된 도구와 인간의 검토를 병행하는 등 광범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민석 기자 shih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