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색육, 그렇게 해로운가요

적색육, 그렇게 해로운가요

김민석 기자
김민석 기자
입력 2019-10-01 13:53
수정 2019-10-01 13:5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일주일 3회 줄여도 암 사망률 고작 0.007% 떨어져”

소, 돼지고기 등 붉은 고기(적색육)가 암과 심장병 등의 발병률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렇다면 이런 고기로 만들어진 수많은 음식을 끊어야 할까? AP통신이 30일(현지시간) 보도한 국제 연구진의 논문에 따르면 꼭 그럴 필요는 없을 것 같다.

이날 발표된 논문은 적색육 섭취에 따른 위험 증가가 미미하고 확실하지 않다고 결론 맺고 있다. 그렇다고 적색육이나 핫도그, 베이컨 등에 쓰이는 가공육이 건강에 좋으며, 더 많이 먹어야 한다는 얘긴 아니다.
이미지 확대
FILE - In this June 5, 2014, f
FILE - In this June 5, 2014, f 샌드위치에 들어간 살라미 소시지
AP 연합뉴스
기존 연구와 배치되는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 저명 과학자 집단에게 신속하게 공격을 받았다. 과거 연구는 보통 이런 고기를 암, 심장병 등 질병과 연관시켰지만, 그런 관계를 뒷받침할 증거가 약하다는 게 이번 연구의 골자이기 때문이다. 학술지 ‘내과연보’는 해당 연구논문이 앞서 은밀한 게재 철회 압력을 받았다고 밝혔다.

논문은 북미와 서유럽에서 일주일에 평균 2~4번 적색육이나 가공육을 먹는다는 점에 주목, 고기를 적게 먹는 것이 암 발병에 얼마나 큰 영향을 주는지를 측정하려 했다. 연구에 따르면 일주일에 적색육 섭취를 3번 줄이면 암 사망률은 고작 0.007% 줄어들었다. 연구진들은 이 분석에 따라 굳이 건강상의 이유로 적색육 섭취를 줄일 필요가 없다고 밝혔다. 하지만 그러면서도 동물복지나 생산 과정 등 다른 요소를 고려하지 않은 연구결과임을 강조하며 자신들이 충고를 강하게 할 수 없음을 인정했다.

논문 저자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엇갈렸다. 공동저자 중 하나인 캐나다 맥매스터 대학 고든 가이아트 박사는 “적색육과 가공육이 건강에 큰 위험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면서 “다만 동물복지나 환경적인 이유로 나는 그런 고기를 소비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14명 중 3명은 적색육과 가공육 섭취를 줄이는 것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논문 철회를 요구한 학자들 중엔 논문 공동저자도 있다는 게 AP통신의 설명이다.

김민석 기자 shih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