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스크의 변심?… 트럼프 ‘관세 폭탄’ 잇단 저격

머스크의 변심?… 트럼프 ‘관세 폭탄’ 잇단 저격

윤창수 기자
윤창수 기자
입력 2025-04-06 23:29
수정 2025-04-06 23: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伊 극우정당 화상 연설서 이견 표출
미국과 유럽 간 ‘무관세’ 적용 희망
“자아 비대” 관세 책사 나바로 비판도

이미지 확대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로이터 연합뉴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로이터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최측근인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공개적으로 트럼프 관세정책에 대해 부정적 입장을 밝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머스크는 5일(현지시간) 이탈리아 극우 정당 ‘라 리가’에서 연 ‘자유의 용기’ 행사에 화상으로 참석해 미국과 유럽 간에 ‘무관세’가 적용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그는 “사실 이미 동맹 관계에 있지만 미국과 유럽 간에 더욱 긴밀한 관계가 형성되기를 희망한다. 유럽과 미국이 모두 합의해 이상적으로는 관세를 없애는 방향으로 나아가 유럽과 북미 간에 실질적인 ‘자유무역지대’를 형성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 관세와 같은 무역장벽이 아닌 자유무역을 옹호했다.

머스크는 ‘미국 해방의 날’이라고 부른 전날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 발표 이후 테슬라의 주가 하락으로 110억 달러(약 16조원)의 손해를 본 것으로 추산된다. 특히 테슬라가 상하이 공장을 운영하는 중국에는 54%의 관세가 부과됐는데, 수익성에 큰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높다.

이미지 확대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담당 고문. AP 연합뉴스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담당 고문.
AP 연합뉴스


머스크는 앞서 이날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책사’로 불리는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담당 고문을 비판하기도 했다.

그는 엑스(X)에서 한 네티즌이 ‘나바로는 하버드대 경제학 박사 학위를 보유하고 있다’고 쓴 데 대해 “하버드대 경제학 박사는 좋은 게 아니라 나쁜 것”이라며 “두뇌(brains)보다 자아(ego)가 큰 것을 의미한다”고 반박했다. 또 다른 X 사용자가 나바로의 통상정책이 옳다고 방어하자 머스크는 “그는 아무것도 만들어 본 적이 없다”고 응수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에 대한 자신의 이견을 나바로를 비판하는 댓글을 통해 우회적으로 표출한 것일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

나바로는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관세정책을 적극 홍보하며 연간 6000억 달러(878조원)의 신규 수입을 미국이 거둘 수 있다고 주장한 바 있다. 파장이 커지자 네티즌들은 머스크에게 관세정책에 대한 입장을 거듭 요구했지만, 머스크는 더이상 관련 댓글을 달지 않았다.
2025-04-07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