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자국 영유권을 주장하는 남중국해에서 또다시 ‘항행의 자유’ 작전을 벌인 미국에 대해 강력 반발했다. 중국은 항공모함 두 척을 다롄(大連)항에 집결시키며 해상 전력을 과시했다.
루캉(陸慷)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8일 미 해군 구축함 ‘히긴스’와 순양함 ‘앤티텀’이 전날 남중국해 파라셀군도(중국명 시사(西沙)군도)의 12해리 이내에서 항해한 데 대해 “중국은 미국의 이런 행동에 강력히 반대한다. 미국은 중국의 주권을 침해하고 안전을 위협하는 도발 행위를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그는 시사군도 해역에 무단 진입한 미 함정을 자국 해군이 출동해 해역 밖으로 물러나게 했다고 설명한 데 이어 향후 모든 필요한 조처를 해 국가 주권과 안전을 수호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 같은 루 대변인의 발언에 맞춰 중국 항공모함 두 척이 동시에 다롄항에 기동한 모습이 포착됐다.
최근 시운항을 해 온 첫 자국산 항모 001A함과 중국의 첫 항모 랴오닝(遼寧)함이 다롄 뤼순(旅順)군항으로 들어오는 사진이 인터넷을 통해 공개됐다. 두 항모의 집결은 수리 점검 차원으로 보이지만 동시에 한 장소에 집결시킨 건 중국이 강조해 온 복수 항모 시대를 상징적으로 과시하려는 행보로 풀이된다.
중국 군사전문가들은 두 중형 항모를 기반으로 항모 전력을 더욱 확대할 것이라며 미국의 핵항모 11척과 비교할 때 중국은 최소 6척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미국은 다음달 열리는 환태평양훈련(림팩)에 중국 해군을 초청했지만 중국이 지속적으로 남중국해 군사기지화를 이어 가자 전격 취소한 바 있다.
베이징 윤창수 특파원 geo@seoul.co.kr
2018-05-29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