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그래프, RFA 등 인용 보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2차 북미 정상회담을 위해 베트남 하노이로 떠난 가운데 북한 주민들이 김 위원장을 애타게 그리워하며 불면의 밤을 견뎌내고 술을 마시지 않고 있다고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가 27일(현지시간) 전했다. 일부 신흥 부유층은 이번 회담의 성과로 북한에 베트남식 경제 개방이 이뤄질 것에 대해 불안해 하고 있다는 보도도 나왔다.텔레그래프는 북한 노동신문이 1면과 2면에 김 위원장의 하노이 사진들을 게재한 것과 조선중앙TV에서 평양 시민들이 ‘위대한 지도자’가 돌아오기를 갈망하고 지도자를 섬기려는 새로운 열망의 목소리를 내는 것을 방영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 공공서비스 노동자는 조선중앙TV에 “존경하는 지도자가 없으면 잠시도 살아 있을 수 없다”면서 “머나먼 이국땅에 있는 지도자의 소식을 들은 뒤 너무나도 보고 싶다”고 말했다.
텔레그래프는 일부 북한 주민들이 충성심을 표현하기 위해 위해 김 위원장이 돌아올 때까지 술을 마시지 않기로 했다고 전했다. 또 김 위원장이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을 위해 오랜 기간 북한을 떠나 있는 동안 북한 주민들이 밤잠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는 로이터통신의 보도도 인용했다.
이는 북한 입장에서 미국의 대북 제재 해제 여부가 이번 회담의 가장 큰 성과이자 국가적 생존의 관건이 되는 상황 속에서 김 위원장에 대한 충성심을 극대화하려는 시도로 풀이된다.
한편 자유아시아방송(RFA)은 이날 북한 신흥 부유층인 ‘돈주’가 이번 회담의 성과로 거론되고 있는 베트남식 경제 개혁에 관심을 기울이며 불안감을 느끼고 있다고 보도했다. RFA는 평안북도 소식통을 인용해 “요즘 당 선전 매체들이 하노이에서 진행되는 정상회담 소식을 연일 보도하면서 돈주들이 베트남식 경제개혁에 관심을 두고 있다”며 “베트남이 사회주의 체제를 유지하면서도 이전부터 미국 등 서방과 손을 잡고 개혁 개방 정책을 취해 세계적으로 쌀과 커피 수출을 활발히 하고 있다는 걸 돈주들이 안다”고 설명했다.
이 소식통은 “신의주시 일대에서 많은 외화를 벌어들여 이를 자본으로 장사판을 장악한 돈주는 김 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기 위해 베트남에 갔으니 베트남식 경제개혁을 북한에 도입할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며 “베트남식 경제개혁을 한다면 한국과 미국 등이 대규모로 북한에 투자하지 않겠냐고 보고 있다”고 했다. 그는 “돈주들은 자신들이 북한에서 돈이 많다고 하지만 세계적인 회사들이 투자하는 대규모 자금에 비교하면 ‘푼돈’이라는 것을 알기 때문에 이같은 상황을 불안해한다”면서 “그들은 지금까지 국가권력 비호 아래 국영 공장에 투자해 수익을 챙기고 고리대 사금융시장까지 장악하며 북한 경제 흐름을 주도해왔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