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라트비아 ‘18번째 유로존 국가’ 공식 결정

EU, 라트비아 ‘18번째 유로존 국가’ 공식 결정

입력 2013-07-10 00:00
수정 2013-07-10 10: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유럽연합(EU) 재무장관들은 9일(현지시간) 브뤼셀 회의에서 라트비아의 유로지역(유로화 사용 국가) 가입을 공식 결정했다.

유럽의회가 지난 3일 이 나라의 유로존 가입을 승인한 뒤 이어진 조치다.

라트비아는 이에 따라 18번째 유로존 국가가 돼 2014년 1월 1일부터 유로화를 사용한다.

유로존 국가들이 낮은 경제 성장과 높은 실업률로 아직 고전하는 가운데 라트비아는 유로존 가입으로 투자와 개발이 촉진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안드리스 빌크스 라트비아 재무장관은 “오늘은 매우 상징적인 날”이라며 “우리가 유럽의 핵심으로 통합을 완료하는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미국의 신용평가기관인 피치는 EU 재무장관 회의의 결정을 환영하면서 라트비아의 장기신용도를 BBB에서 BBB+로 한 등급 올렸다.

라트비아는 유로존 국가 가운데 키프로스, 몰타에 이어 세 번째로 경제규모가 작은 나라다. 연간 총생산액이 약 223억 유로(290억 달러)로 라트비아는 유로존 전체 경제의 0.2%밖에 차지하지 않는다.

발디스 돔브로브스키스 라트비아 총리는 기자회견에서 “우리뿐 아니라 유럽에도 좋은 날”이라며 유로존 가입으로 이자율이 낮아지고 환전 비용이 감소하며 외국인 투자가 증가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그는 라트비아 무역의 70%가 이미 유로화로 결제된다고 지적했다.

2008~2009년 경제위기에서 벗어나기 시작한 라트비아는 2011년에 이어 2012년 5% 이상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로 EU 지역에서 최고를 기록하기도 했다.

그러나 돔브로브스키스 총리는 유로존에 잘 가입했다는 것을 정부가 앞으로 국민에게 확신시켜줘야 한다는 점을 인정했다.

지난 6월 조사한 뒤 이날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 라트비아인의 22%만이 유로화 채택에 찬성한 반면 53%가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25%는 응답하지 않거나 중립적 태도를 보였다.

연합뉴스

전병주 서울시의원, 광복80주년 경축식 참석... “선열의 희생 기억하며 미래로 나아가야”

서울시의회 교육위원회 전병주 부위원장(더불어민주당, 광진1)은 지난 20일 광진구보훈회관에서 열린 광복회서울시지부 광진구지회(지회장 권오철) 주최 ‘광복 80주년 경축식’에 참석해 광복의 의미를 되새기고 순국선열의 희생을 기리는 자리에 함께했다. 이번 경축식은 광복 80주년을 맞아 주민들이 함께 모여 나라를 되찾기 위해 헌신한 독립운동가들의 숭고한 정신을 기리고, 이를 미래 세대에 전하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에는 고민정 국회의원을 비롯해 광복회 회원, 지역 인사와 주민들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전 부위원장은 “광복은 수많은 선열의 희생 위에 이룬 값진 결실”이라며 “오늘 우리가 누리는 자유와 번영은 독립운동가들의 헌신 덕분에 가능했다”고 말했다. 이어 “광복의 역사는 결코 과거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오늘을 사는 우리가 지켜야 할 정신이자 내일을 밝히는 등불”이라고 강조했다. 경축식에서는 축사와 함께 광복절 노래 제창, 만세 삼창이 진행됐으며, 물푸레 합창단이 참여한 합창 공연과 감사 편지 낭독 행사가 이어져 깊은 울림을 더했다. 끝으로 전 부위원장은 “선열들의 숭고한 정신을 잊지 않고 실천하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광복의 완성”이라며 “서울시의회에서도
thumbnail - 전병주 서울시의원, 광복80주년 경축식 참석... “선열의 희생 기억하며 미래로 나아가야”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