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군·친러 반군 15일부터 휴전…중화기 철수도 합의

우크라군·친러 반군 15일부터 휴전…중화기 철수도 합의

조태성 기자
입력 2015-02-13 00:12
수정 2015-02-13 04: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4자 정상회담 1박2일 끝장토론… 평화협정 타결

우크라이나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모인 러시아·우크라이나·프랑스·독일 4개국 정상이 16시간에 걸친 끝장 토론을 벌인 끝에 12일 낮 12시쯤(현지시간) 평화협정을 타결시켰다. 그러나 지난해 9월 평화협정으로 되돌아갔을 뿐이라는 비판도 나온다.
이미지 확대
우크라이나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11일(현지시간) 벨라루스 민스크에 모인 4개국 정상이 기념 촬영을 위해 이동하고 있다. 앞줄 왼쪽부터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 페트로 포로셴코 우크라이나 대통령,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 민스크 AFP 연합뉴스
우크라이나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11일(현지시간) 벨라루스 민스크에 모인 4개국 정상이 기념 촬영을 위해 이동하고 있다. 앞줄 왼쪽부터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 페트로 포로셴코 우크라이나 대통령,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
민스크 AFP 연합뉴스


AFP통신과 리아노보스티통신 등에 따르면 4개국 정상 합의안의 골자는 네 가지다. 우선 우크라이나 정부군과 친러 반군은 15일부터 휴전에 돌입한다. 우크라이나 정부군은 지금 현재의 전선에서, 친러 반군은 지난해 9월 평화협정 당시 형성된 전선에서 중화기를 후퇴시키면서 양측 사이의 빈 공간은 비무장지대로 만든다. 이어 영구적 평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양측은 구체적 로드맵을 만들어야 한다. 또 반군이 장악한 우크라이나 동부 지역에 ‘특수 지위’를 부여하는 개헌 작업도 시작해야 한다.

협상 타결 뒤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는 “이번 협상으로 희망의 단초를 발견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반군세력 수장인 알렉산드르 자하르첸코도 “이번 합의로 평화적 해결에 대한 희망이 생겼다”고 일단 환영의 뜻을 나타냈다. 10개월간 5400여명의 희생자를 낸 우크라이나 사태에 대한 전면적 해법은 아니지만 돌파구는 마련했다는 것이다.

이날 협상은 진통을 거듭했다. 메르켈 총리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페트로 포로셴코 우크라이나 대통령,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은 11일 오후 8시 15분 벨라루스 민스크의 독립궁에 마련된 회담장에 들어선 뒤 16시간이나 협상을 진행했다. 러시아위성TV RT는 “회담이 어찌나 격렬하게 진행됐는지 회담장의 푸틴 대통령 자리에는 녹색 펜 하나가 부러져 있었다”고 전했다. 회담 뒤 푸틴 대통령은 마라톤협상이 이어진 까닭에 대해 “우크라이나 정부가 반군과 직접 대화를 꺼려 했기 때문”이라면서 “아무리 상대가 싫다 해도 실체가 있다면 인정하는 게 순리”라고 말했다. 반대로 포로셴코 대통령은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는 최후통첩성 발언이 난무했으나 우리는 거기에 흔들리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협상 타결 자체는 모두에게 이롭다. 러시아는 영토 야욕을 보인다는 비난에서 벗어날 수 있다. 독일과 프랑스는 미국이 개입해 유럽이 다시 냉전의 대결장이 되는 것을 피할 수 있게 됐다. 우크라이나는 경제를 살릴 수 있는 시간을 벌었다. 마침 협상 타결 소식 직후 국제통화기금(IMF)은 우크라이나에 175억 달러(약 19조 4582억원)의 구제금융 추가 지원을 결정했다. IMF 등 서방세계는 빨리 평화를 안착시킨다는 조건 아래 우크라이나에 400억 달러 규모의 자금 지원을 약속한 바 있다.

그러나 평화협상이 유지되겠느냐는 시각도 많다. 평화협상 내용이 사실상 지난해 9월 평화협상의 재탕에 가까운 데다, 그 평화협상조차 제대로 지켜지지 않았다는 경험에서다. 이는 평화협상을 주도한 독일도 인정하고 있다. 메르켈 총리는 “앞으로 넘어야 할 더 많은 허들이 있기 때문에 환상에 젖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 외무장관도 “이번 협정이 불충분해 보일 것이고, 독일 정부에도 그렇게 보이는 건 매한가지”라면서 “그러나 오늘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다 했다고 봐 달라”고 말했다. 일단 봉합한 것만 해도 성과라는 얘기다.



조태성 기자 cho1904@seoul.co.kr
2015-02-13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챗GPT의 성(性)적인 대화 허용...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글로벌 AI 서비스 업체들이 성적인 대화, 성애물 등 ‘19금(禁)’ 콘텐츠를 본격 허용하면서 미성년자 접근 제한, 자살·혐오 방지 등 AI 윤리·규제 논란이 한층 가열되고 있다. 챗GPT 개발사인 오픈AI도 ‘GPT-4o’의 새 버전 출시 계획을 알리며 성인 이용자에게 허용되는 콘텐츠 범위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19금 대화가 가능해지는 챗GPT에 대한 여러분은 생각은 어떤가요?
1. 찬성한다.
2. 반대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