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범한 일자리 싫어 얼굴에 ‘저주받은’ 새긴 그녀, 몸의 60%가 문신

평범한 일자리 싫어 얼굴에 ‘저주받은’ 새긴 그녀, 몸의 60%가 문신

임병선 기자
입력 2019-03-09 17:07
수정 2019-03-09 17:0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놀라지 마시라. 눈썹 위에 새긴 문신은 분명 ‘저주받은(cursed)’이 맞으니 말이다.

영국 에르딩턴 출신으로 버밍엄에서 살고 있는 케일리 피치(26)는 문신 아티스트로 성공하고 싶었다. 열여덟 살 때 남자친구의 성(姓)을 발목에 새긴 것이 자신의 손으로 한 첫 문신일 정도로 좋아했다. 물론 남자친구의 발목에는 자신의 성이 새겨졌다.

늘 그릇의 물이 반 밖에 안 찼다고 비관하는 편이었다. 자신에게 일어나는 일은 뭐든지 자신을 벌하기 위해 생기는 것이라고 믿었다. 어릴 적부터 펍의 위층에 살아 늘 술과 친하게 지냈다. 별다른 희망도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문신 하나만은 잘하고 싶었다. 예술로 끌어올리겠다는 갈망이 너무도 커 스물네 살 때 견습생으로 첫 출근하는 날, 눈썹 위에 ‘저주받은’ 문신을 새겼다. 평범한 얼굴이라면 누구라도 선뜻 채용하겠다고 할까봐 문신 일 외에는 다른 기회의 싹을 아예 잘라버리겠다는 속내였다.

누가 그런 그를 고용하고 싶겠는가? 그의 의도는 적중했고 그는 문신 일에만 몰두할 수 밖에 없었다. 아버지가 결혼했을 때 그는 마음의 공허함을 지우려고 가슴에 커다란 문신을 새겼다. 당연히 아버지는 시집가긴 틀렸다고 혀를 찼다. 하지만 지금은 아버지도 문신 일을 직업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자신이 아버지에게 상처를 줬는지 모르지만 이제 ‘아빠’라고 손글씨를 쓰게 하고 그걸 자신의 몸에 새기기도 했다.

늘 눈에 띄지 않는 소녀였던 그에게 열아홉 살에 처음 모델 일이 들어오기 시작한 것도 문신 덕이었다. 뮤직비디오도 찍었고, ‘스킨 딥’ 잡지에도 소개됐다. 문신이 자신의 삶을 긍정적으로 바꾸는 계기가 될줄 그도 미처 몰랐다고 했다. 그렇게 계속 문신이 늘어 이제 몸의 60%를 뒤덮게 됐다.

피치는 “다른 이들의 눈길도 많이 끌고 좋은 소리만큼이나 싫은 소리도 듣게 된다. 그러나 ‘이쯤이야’ 하면 그만”이라고 했다. 아울러 “나이를 먹어 피부가 쭈글쭈글해지면 문신이 그걸 가려 예쁘게 보일 수 있다”고 문신의 장점을 강조했다.

임병선 선임기자 bsn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