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시위대, 영국 공동인쇄소 세 곳 봉쇄해 배달 차질

기후변화 시위대, 영국 공동인쇄소 세 곳 봉쇄해 배달 차질

임병선 기자
입력 2020-09-06 11:48
수정 2020-09-06 13:0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기후변화에 대한 대책을 촉구하는 ‘멸종 저항’ 시위 참가자들이 4일(현지시간) 허트퍼드셔주 브롱크스번에 있는 신문 인쇄소로 향하는 길목을 차단한 채 시위를 벌이고 있다. 멸종 저항 영국 지부 제공 로이터 연합뉴스
기후변화에 대한 대책을 촉구하는 ‘멸종 저항’ 시위 참가자들이 4일(현지시간) 허트퍼드셔주 브롱크스번에 있는 신문 인쇄소로 향하는 길목을 차단한 채 시위를 벌이고 있다.
멸종 저항 영국 지부 제공 로이터 연합뉴스
기후변화 대책을 촉구하는 캠페인 그룹 ‘멸종 저항(Extinction Rebellion, XR) 활동가들이 루퍼트 머독이 소유한 영국 신문들을 인쇄하는 세 곳 출입문을 봉쇄하는 시위를 벌여 배달이 차질을 빚었다.

활동가들이 시위를 벌인 곳은 허트퍼드셔주의 브롱크스번, 머지사이드주 노슬레이, 노스 라나크셔주 머더웰 근처의 인쇄 시설들로 배달이 지연된 신문들은 더 선, 타임스, 더 선 일요판, 스코티시 선 등 머독이 소유한 언론사와 머독 소유가 아닌 데일리 텔레그래프, 선데이 텔레그래프, 데일리 메일, 메일 일요판, 런던 이브닝 스탠더드 등의 5일(이하 현지시간)자라고 BBC가 전했다. 시위대원들은 인쇄소로 향하는 도로를 막아 차량들을 주차시키고, 자신의 몸을 사슬로 구조물에 묶은 채 신문들이 기후변화 위협을 보도하는 데 주저하고 있다는 구호 등을 외쳤다. 밴 승합차에는 “진실을 해방하라”는 구호가 적혀 있었다. 경찰은 80명의 시위 참가자를 체포했다.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는 이들 시위대의 행동을 용납할 수 없다고 규탄했다. 더 선은 트위터에 늦게 배급소에 전달되는 바람에 배달 지연이 빚어졌다고 알린 뒤 XR의 행동이 “자유 언론에 대한 공격”이라고 개탄했다. 예비내각 디지털문화 미디어 스포츠부의 조 스티븐스 장관은 “사람들은 원하는 신문을 읽을 권리가 있다”며 “신문을 배포하지 못하게 막거나 인쇄업자들이 일을 못하게 만든 것은 잘못된 일”이라고 지적했다. 프리티 파텔 내무장관은 XR이 한밤 중에 벌인 일은 “민주주의에 대한 공격”이라고 트윗을 올렸다.

발행인협회는 일부 배급소는 벌금을 물어야 할 상황에 몰렸다며 그나마 다른 업계 파트너들의 도움으로 장소를 옮겨 인쇄 작업을 끝낸 것이 다행이라고 설명했다.

XR은 열흘 동안 행동에 나서 정부로 하여금 기후변화에 대해 적극적으로 나설 것을 촉구하기로 했다. 대변인은 성명을 내 “우리는 전례없는 규모의 비상한 국면에 있다. 우리가 공격 대상으로 꼽은 신문들은 우리 행성에 일어나는 일의 규모와 긴급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않았다. 오늘 아침 행동으로 소상공인들에게 폐를 끼친 데 대해 ‘유감스럽다. 더 커다란 붕괴가 다가오는 것을 경고하는 과정에 이런 폐를 끼치게 됐음을 이해해주기 바란다’고 말씀드리고자 한다”고 밝혔다.

전날에는 런던 도심에서 시위를 벌이던 300명 이상이 체포됐다. 영국에는 현재 30명 이상의 집회가금지돼 있어 시위에 참가한 이들에게는 벌금이 부과될 수 있다고 당국은 경고했지만 소용 없었다.

일주일 전 브라이턴을 출발한 행진 행렬은 조만간 의회 의사당에 당도할 예정이다. 런던경시청은 웨스트민스터까지의 행진이 신청 요건을 충족하지 않았다고 보고 스웨덴의 환경 소녀 그레타 툰베리의 이름을 따붙인 길이 7m의 요트 모형을 앞세우고 행진하는 것을 금지했다. 5일 오후 2시 45분 켄싱턴 공원을 지난 지점에서 수많은 경찰과 14대의 경찰 차량에 의해 막혔다고 했다. 이에 따라 XR 시위 참가자들은 트라팔가 광장 주변에 널리 흩어져 있다고 방송은 전했다.

신동원 서울시의원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 백사마을 주민 불이익 해소 위해 공정 보상 나서야”

서울특별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신동원 의원(노원1·국민의힘)은 지난 28일 제332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 시정질문에서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SH공사) 황상하 사장을 상대로 백사마을 주택재정비사업 과정에서 드러난 이주대책·보상 문제를 집중 추궁하며, “주민 불이익을 신속히 해소하고 공정한 보상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신 의원은 “백사마을의 무허가주책 가옥주들은 수십 년간 해당 지역에 터를 잡고 살아온 고령층 및 저소득층 주민들이 대부분이다. 이들은 재개발 사업 앞에서 한없이 취약해지는 사회적 안전망의 사각지대에 놓인 대표적인 주거 약자”라고 강조했다. 이어 “백사마을은 주거지 보전지역 해제로 세대가 741세대 늘어나 사업성이 개선됐음에도, 무허가주택 가옥주들에 대한 입주권 기준일을 1981년으로 제한해 주민 불이익이 계속되고 있다. 타 재개발 지구처럼 형평성 있는 보상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신 의원은 SH공사가 시행한 타 재개발 지구에서 임대아파트 입주권을 부여했던 사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백사마을 주민에게는 동일한 혜택을 적용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하며 “백사마을 주민만 차별을 받는 것은 형평성에 어긋나며, 이는 명백한 불공정 사례”
thumbnail - 신동원 서울시의원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 백사마을 주민 불이익 해소 위해 공정 보상 나서야”

임병선 평화연구소 사무국장 bsn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