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집권당? 40세 엄마?… 불붙은 ‘포스트 메르켈’ 경쟁

또 집권당? 40세 엄마?… 불붙은 ‘포스트 메르켈’ 경쟁

이지운 기자
입력 2021-04-21 18:04
수정 2021-04-22 02: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獨 여당연합 라셰트 vs 녹색당 베르보크
첫 자체 후보 낸 녹색당 지지율 1위 돌풍

독일 기독민주당(CDU)·기독사회당(CSU) 연합은 16년 앙겔라 메르켈 집권에 이어 계속 총리직을 차지할 것인가? 아니면 지지율 급상승의 녹색당(Die Gruene)이 역사상 처음으로 총리를 배출할 것인가. 독일 여당연합이 20일(현지시간) 아르민 라셰트(왼쪽) 기민당 대표를 총리 후보로 확정하면서 본격적인 레이스가 속도를 내고 있다.

오는 9월 독일 총선이 특히 주목받는 것은 녹색당이 보이고 있는 의외의 약진 때문이다. 2021년 ‘슈퍼 선거’의 해에 진입하고서도 독일은 기민·기사 연합이 계속 연방 총리 자리를 차지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관측됐다. 지지율이 새해 들어 하락세를 보이긴 했지만 주요 경쟁 상대인 사민당 지지율은 10%대에 머물렀다. 그러던 것이 지난 3월 주 의회 선거에서 녹색당과 사민당(SPD)이 승리를 거두면서 기류상 변화를 드러냈다.

녹색당은 바덴뷔르템베르크주에서 32.6%로 주 의회 선거에서 역대 최대의 지지를 얻었다. 사민당은 전국적으로 당 지지율 하락세는 막지 못하는 가운데서도 라인란트팔츠주에서 35.7%를 얻어 주 총리 자리는 유지했다. 2017년 총선에서 89석을 얻으며 돌풍을 일으켰던 극우정당 독일 대안당(AfD)은 이 선거에서 한 자릿수 지지율에 머물며 부진을 떨쳐 내지 못했다. 결국 녹색당만 돋보인 선거였다. 그간 녹색당은 총선을 이끌 지명도 높은 인물이 없다는 게 가장 큰 약점이었다. 바덴뷔르템베르크 주총리 빈프리트 크레치만은 72세로 고령이었다. 그런 녹색당이 지난 19일 1980년 창당 이래 처음으로 자체 총리 후보를 지명했다. 1980년생 여성 당대표 아날레나 베르보크(오른쪽)였다. 28세에 녹색당 브란덴부르크주 대표가 된 그는 33세에 연방의회 의원에 당선됐고, 37세에 중앙당 대표에 올랐다. 두 딸의 엄마로서 메르켈의 ‘무티(Mutti·어머니를 뜻하는 Mutter의 애칭) 리더십’에 가까운 모습을 보이고 있다.

여론조사기관 포르자가 RTL·ntv방송 의뢰로 실시해 이날 발표한 여론조사에서 28%가 녹색당을 지지했고 이어 기민·기사당 연합 21%, 사민당 13% 등 순이었다. 녹색당 지지율이 기민·기사당 연합을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앞서 지난 16∼19일 여론조사기관 인사(INSA)의 조사에서는 기민·기사당 연합 28%, 녹색당 21%, 사민당은 15%였다. 녹색당은 총리를 배출하지 못하더라도 연정에 참여할 가능성이 커졌고, 이렇게 되면 독일 정치에 상당한 변화가 예상된다고 현지 언론들은 내다보고 있다.

이지운 전문기자 jj@seoul.co.kr

문성호 서울시의원 “홍제3구역주택재건축정비사업, 조합원도 천주교 신자고 천주교 신자도 조합원임을 알아야”

문성호 서울시의원(국민의힘, 서대문2)이 홍제3구역주택재건축정비사업 조합과 천주교서울대교구유지재단과의 무악재성당 관련 협의가 불발된 데 이어, 순조롭게 이행되지 않으면 결국 불필요한 집행이 이뤄질 수밖에 없음에 안타까움을 전하며, 이러한 불발이 지속될수록 결국 피해받는 대상은 조합원이며, 이 조합원 역시 천주교 신자가 있을 수 있고, 천주교 신자 중 조합원이 분명하게 있음을 상기해 천주교재단에 깊은 아량과 이해를 당부했다. 문 의원은 “홍제2동의 숙원이자 기나긴 세월 간 지연되어 온 홍제3구역주택재건축정비사업이 이제 막 삽을 뜨려던 찰나, 천주교서울대교구유지재단과의 무악재성당 관련 협의가 불발되면서 법적 분쟁까지 이어져 또다시 지연됨에 매우 안타깝게 생각한다”라며 발언을 시작했다. 이어 문 의원은 “아쉬운 점은, 진작에 조합측의 사업시행계획 수립, 관리처분계획 수립 시기에 무악재성당 및 천주교서울대교구유지재단에서의 면담 및 협상을 거부하여 10년 만에 가까스로 이뤄졌음에도 무악재성당 관련 보상 및 내용에 대해 무리한 조건을 제시, 이에 대해 대응이 이루어짐은 물론 일방적인 법적 분쟁 소송으로 불협화음이 발생했다는 점이다”라며 이어갔다. 또한 문 의원은 “
thumbnail - 문성호 서울시의원 “홍제3구역주택재건축정비사업, 조합원도 천주교 신자고 천주교 신자도 조합원임을 알아야”

2021-04-22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