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병선의 메멘토 모리] 자자 가보르 사망 5년 뒤 유해 일부 부다페스트에

[임병선의 메멘토 모리] 자자 가보르 사망 5년 뒤 유해 일부 부다페스트에

임병선 기자
입력 2021-07-14 09:30
수정 2021-07-14 10:4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난 2016년 99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난 헝가리 출신 여배우 자 자 가보르의 마지막 남편인 독일 기업인 프레데리크 폰 안할트가 13일(현지시간) 부다페스트 묘역에 부인의 유해 일부를 안장하기 전에 사진을 들어 보이고 있다. 부다페스트 로이터 연합뉴스
지난 2016년 99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난 헝가리 출신 여배우 자 자 가보르의 마지막 남편인 독일 기업인 프레데리크 폰 안할트가 13일(현지시간) 부다페스트 묘역에 부인의 유해 일부를 안장하기 전에 사진을 들어 보이고 있다.
부다페스트 로이터 연합뉴스
지난 2016년 99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난 할리우드 스타 자 자 가보르(Zsa Zsa Gabor)의 유골이 13일(현지시간) 5년 만에 고국 헝가리 수도 부다페스트에 안장됐다.

가보르는 아홉 차례나 결혼한 것으로 유명한데 그녀의 마지막 남편 프레데리크 폰 안할트는 가보르의 유해 일부를 부다페스트의 한 공동묘지 묘역에 묻었다. 동영상을 보면 유해 일부가 담긴 구치의 포장 봉지를 단지 안에 넣고 생전 그녀의 발언이 사진과 함께 새겨진 베개를 집어넣는 장면이 이색적이다.

안할트는 가보르가 유언장에 유해 일부를 1917년에 태어난 고향에 묻어달라고 부탁했다고 밝혔다. 그는 부다페스트로 오기 전에 영국 런던과 독일을 경유했다고 밝혔다. 다만 유해의 4분의 1은 여전히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에 묻혀 있다고 했다.

아울러 가보르 유해를 묻는 일을 장례의 일부가 아니라 삶의 여정을 오롯이 그려내는 것으로 만들고 싶었다고 털어놓았다. 안할트는 “그녀는 일등석이었고, 그녀는 자신의 좌석이 있었고 그녀의 여권과 모든 것이 거기 있었다. 그녀의 마지막 여행이었다. 그녀는 생전에 늘 일등석에 탔고 샴페인을 마시고 캐비어를 먹었다”고 말했다.

‘릴리‘와 1952년작 ’물랑루즈’에 출연해 명성을 떨친 가보르는 늘 재치 넘치는 발언으로 유명했다. 부다페스트에서 사리 가보르(Sari Gabor)란 이름으로 태어났으며 가족들로부터 자 자(Zsa Zsa)란 별칭으로 불렸고 배우 일자리를 구하려고 미국으로 건너가기 전에 미스 헝가리로 선발되기도 했다. 가보르는 수십 편의 영화에 출연했지만 영국 배우 조지 샌더스와 호텔 재벌 콘래드 힐튼 등과 여러 차례 결혼한 것으로 더 유명했다. 실제로 본인도 여덟 번인가 아홉 번인가 헷갈려 했다는 믿기지 않는 얘기가 전해진다.

상당히 신랄한 발언들을 많이 남겼다. “나는 섹스에 대해 아무것도 모른다. 왜냐하면 언제나 결혼한 상태였기 때문이다.” “남편들은 불과 같다. 아무도 지켜보지 않으면 꺼져버린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