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서 ‘훈계’들은 아베 동생과 책사…日 점점 궁지에

美서 ‘훈계’들은 아베 동생과 책사…日 점점 궁지에

입력 2014-01-19 00:00
수정 2014-01-19 16:5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수전 라이스, 야스쿠니 ‘콕 찍어’ 거론…”갈등 해결하라” 촉구케리 ‘위안부 법안’ 통과후 책사 야치 면담…메시지 전달 가능성

미국 워싱턴을 무대로 ‘야스쿠니 외교전’을 전개하던 일본이 갈수록 궁지에 몰리는 양상이다.

이미지 확대
아베 신조(왼쪽에서 두 번째) 일본 총리가 취임 1주년을 맞은 26일 도쿄 야스쿠니 신사에서 참배하기 위해 걸어가고 있다. 일본 현직 총리가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한 것은 2006년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 이후 7년 4개월 만이다. 도쿄 교도 연합뉴스
아베 신조(왼쪽에서 두 번째) 일본 총리가 취임 1주년을 맞은 26일 도쿄 야스쿠니 신사에서 참배하기 위해 걸어가고 있다. 일본 현직 총리가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한 것은 2006년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 이후 7년 4개월 만이다.
도쿄 교도 연합뉴스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의 친동생과 책사가 직접 오바마 행정부의 고위인사들을 상대로 야스쿠니 신사참배를 해명했으나 냉담한 반응만 확인한 것이다.

수전 라이스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17일(이하 현지시간) ‘아베의 책사’로 불리는 야치 쇼타로(谷內正太郞) 신임 일본 국가안전보장국장과 면담한 자리에서 야스쿠니 신사참배를 ‘꼬집어’ 거론하면서 주변국과의 갈등해결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고 일본 아사히신문이 미국 고위관리를 인용해 워싱턴발로 보도했다.

라이스 보좌관은 특히 북한문제에 대처하는데는 한·미·일 3국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면서 한국과의 관계개선을 위한 조치를 취하라고 주문했다.

이 같은 보도는 야치 국장이 라이스 보좌관과의 회동 직후 언론 브리핑에서 “야스쿠니 문제에 대한 언급이 없었다”고 말한 것과 배치되는 것이다. 지지통신도 야치국장의 워싱턴 회담에서 야스쿠니 문제가 논의됐다고 보도했다.

보도대로라면 야치 국장이 야스쿠니 사태를 ‘해명’하려다가 오히려 ‘훈계’를 들은 셈이다.

존 케리 국무장관과 척 헤이글 국방장관도 같은 날 야치 국장과 면담한 자리에서 비슷한 메시지를 던졌을 것으로 워싱턴 외교소식통들은 보고 있다.

특히 케리 국무장관의 경우 일본 정부의 ‘위안부 결의안’ 준수 촉구 법안이 16일 의회를 통과한 직후 만났다는 점에서 관련 언급을 했을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온다. 법안에는 ‘국무장관이 일본 정부에 대해 (종군위안부 문제에 대한 공식 사과를 하라는) 2007년 하원 위안부 결의안에서 제기된 문제들을 해결하도록 독려할 것을 촉구한다’는 조항이 들어가 있다.

의회는 해당 조항을 근거로 국무장관에게 이행상황을 질의하고 보고받을 권한이 있기 때문에 케리 장관으로서는 야치 국장과 만난 자리에서 관련 메시지를 전달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아베의 친동생인 기시 노부오(岸信夫) 일본 외무성 부대신도 지난 13일부터 국무부와 의회 인사들을 만나며 야스쿠니 신사참배를 해명했으나 미국 측의 반응이 긍정적이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또 사사에 겐이치로(佐佐江賢一郞) 주미 일본대사가 17일 워싱턴포스트(WP)에 기고문을 내고 중국이 일본을 부당하게 공격하고 있다는 취지의 주장을 폈으나 별다른 반향을 불러일으키지 못했다는 게 대체적 평가다. 이 기고문은 일주일 전 추이톈카이(崔天凱) 주미 중국대사가 WP 기고문을 통해 아베 총리를 강도 높게 비판한 데 대한 맞대응 차원이었다.

오히려 워싱턴 내에서는 대일 비판여론이 점점 더 고조되는 분위기다. 단순히 야스쿠니 신사참배를 비판하는 차원을 넘어 오바마 행정부가 직접 나서 일본의 진정성 있는 태도변화를 이끌어내야 한다는 지적이 의회와 학계, 싱크탱크 등에서 제기되고 있다.

조지 워싱턴대학의 한반도 전문가인 앤드루 그레그 브레진스키 교수는 CNN 특별기고를 통해 “아베의 문제있는 행동에 대한 오바마 행정부의 대응이 너무 나약하다”고 지적하고 “오바마 대통령과 케리 장관은 중요한 연설을 통해 아베의 야스쿠니 신사참배 행위와 2차대전 중 일본이 저지른 잔학행위를 미화하려는 움직임을 강력하게 비판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의회에서는 에드 로이스 하원 외교위원장을 비롯해 ‘코리아 코커스’ 공동의장인 게리 코널리 의원, ‘위안부 법안’ 통과의 주역인 마이크 혼다·스티브 이스라엘 의원 등이 아베 정권을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전직 고위관리 중에는 매들린 올브라이트 전 국무장관, 커트 캠벨 전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 제프리 베이더 전 백악관 아시아담당 선임보좌관 등이 비판대열에 가세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오는 20일부터 한·중·일 순방에 나서는 대니얼 러셀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의 행보에 워싱턴 외교가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일본 정부의 ‘위안부 결의안’ 준수 촉구 법안이 통과된 이후 국무부 고위당국자의 첫 일본 방문이기 때문이다. 러셀 차관보가 과거사 갈등과 관련해 일본 정부에 과연 어떤 메시지를 던질지 주목된다.

김기덕 서울시의원, ‘연남교·중동교 보도폭 4배 확장’ 주민 숙원 풀려

서울시의회 김기덕 시의원(더불어민주당·마포4)은 지난 20일, 서울시에서 보도된 ‘서울시, 연남교·중동교 보도폭 4배 확장...경의선 숲길까지 걷기 편한 도시숲 완성’ 과 관련해, 연남교 및 중동교 상부 도로 양방향 통행 가능 데크형 구조물 개조는 물론, 충분한 보행 공간 확보로 병목 현상 등 해결을 통한 단절된 보행 흐름 개선 및 보행자 안전에도 기여할 것이라며 오랜 주민 숙원이 풀리게 됨을 크게 환영했다. 올해 12월 준공 목표인 ‘경의선 숲길 연결교량(홍제천~불광천) 보행환경 개선사업’은 사업비 8억 1400만원으로 추진하는 사업으로, 연남교(현 보도폭 B=0.8m, L=60m)와 중동교(현 보도폭 B=0.6m, L=60m)일대 교량 편측 보도부에 캔틸레버형 인도교(B=2.5m)를 확장하는 사업이다. 흔히 ‘연트럴파크’라고 일컫는 ‘경의선 숲길’ 또한 녹지가 부족했던 마포구에 활력은 물론, 공원을 따라 새로운 상권이 형성된 서북권 발전의 하나로서, ‘경의선 숲길 연결교량(홍제천~불광천) 보행환경 개선 사업’은 지난 2022년 8월, 김 의원의 ‘수색역세권 보행네트워크 구축’ 선도사업제안으로 힘을 실어준 사업의 일환이다. 이후 본 사업은 2023년
thumbnail - 김기덕 서울시의원, ‘연남교·중동교 보도폭 4배 확장’ 주민 숙원 풀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