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발등 찍은 꼼수… 사도광산 세계유산 물 건너갔다

日 발등 찍은 꼼수… 사도광산 세계유산 물 건너갔다

김진아 기자
김진아 기자
입력 2022-07-28 20:26
수정 2022-07-29 06:0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징용 논란 피하려 에도시대 한정
유네스코 “추천서 요건 못 갖췄다”
서류 심사도 못 해보고 등재 불발
내년 재도전해도 통과 어려울 듯

이미지 확대
일본 사도광산. 연합뉴스
일본 사도광산. 연합뉴스
일제강점기 시절 조선인 강제동원의 상징이었던 ‘사도광산’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려던 일본의 꿈이 ‘추천서’를 제대로 갖추지 못하는 바람에 불발됐다.

28일 스에마쓰 신스케 문부과학상은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유네스코 사무국으로부터 추천서의 일부가 충분하지 않다는 판단이 내려졌고 재고를 요구했지만 사무국의 결정은 변하지 않음을 최종 확인했다”고 밝혔다.

앞서 일본 정부는 지난 2월 사도광산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해 유네스코 세계유산센터에 추천서를 냈다. 센터는 이 추천서를 민간 자문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이코모스)에 넘겨 서류 심사와 현지 실사를 진행하게 한다.

하지만 유네스코는 추천서 송부 시한인 3월 1일까지 이코모스에 추천서를 보내지 않았다. 유네스코는 추천서에서 사도광산의 범위를 표시하는 자료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다는 이유로 추천서 송부를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교도통신은 “유네스코는 한일 역사문제 대립의 상징을 세계유산위원회에 가지고 들어오는 것에 대해 우려하고 있었다”고 밝혔다. 일본 정부는 사도광산 추천서에 강제동원을 언급하지 않기 위해 추천 시기를 에도 시대(1603~1867년)로 한정하는 꼼수를 썼다.

일본 정부는 당초 계획보다 1년 늦은 2024년 등재를 위해 내년 2월까지 추천서를 다시 제출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추천서를 보완한다고 해도 실제 등재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일본 정부 부대변인인 이소자키 요시히코 관방부장관은 “(세계유산위원회 의장국인)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위원회 일정이 늦어지고 있고 앞으로 어떻게 될지는 유동적”이라고 밝혔다.

김규남 서울시의원 “지역별 전기요금 차등제는 서울시민 역차별···즉각 철회해야”

정부가 올 하반기 시행을 목표로 추진 중인 ‘지역별 전기요금 차등제’가 시행될 경우, 서울시민들이 막대한 피해를 입을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됐다. 지난달 29일 열린 서울시의회 제332회 임시회 본회의에서 김규남 의원(국민의힘·송파1)은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제도의 심각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서울시의 강력한 대응을 촉구했다. 지역별 전기요금 차등제는 발전소가 가까운 지역은 전기요금을 낮게, 발전소와 먼 지역은 요금을 높게 부과하는 방식이다. 정부는 내년 시행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지만, 전력자급률이 전국 최하위권(10.4%)인 서울은 타 지역보다 전기요금이 2~3배까지 오를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시민과 기업 모두 큰 부담을 질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김 의원에 따르면 실제 가구당 연간 전기요금은 지금보다 144만원 늘어나고, 서울 전체로는 5조 5000억원 규모의 추가 부담이 발생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가정뿐 아니라 자영업자, 전기를 많이 사용하는 데이터센터와 기업에도 직격탄이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서울의 산업 경쟁력 자체가 무너질 수 있다는 우려를 표했다. 김 의원은 “서울은 이미 지난해에만 115조원의 국세를 납부해 전체의 35%를 부담했고, 인구 대
thumbnail - 김규남 서울시의원 “지역별 전기요금 차등제는 서울시민 역차별···즉각 철회해야”

 
2022-07-29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