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중 “데뷔 10년차에 록 도전, 또 다른 ‘성장통’”

김재중 “데뷔 10년차에 록 도전, 또 다른 ‘성장통’”

입력 2013-11-03 00:00
수정 2013-11-03 19:1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정규 1집 ‘WWW’ 발표…한국·일본 등 아시아 투어도 돌입

“데뷔 10주년이 되니 모든 것이 ‘리셋’이 아닌 ‘리턴’이 된 느낌입니다. 시작으로 되돌아가 다시 이루고픈 목표가 생겼어요.”
JYJ 김재중 리허설 현장 씨제스엔터테인먼트제공
JYJ 김재중 리허설 현장
씨제스엔터테인먼트제공


지난달 29일 솔로 정규 1집 ‘WWW:후, 웬, 와이(Who, When, Why)’를 발표한 그룹 JYJ의 김재중은 “앨범을 발매한 이 순간이 지난 10년을 통틀어 가장 뿌듯하다”며 “굉장히 힘든 도전이었다”고 소회를 밝혔다.

그는 3일 오후 강남구 코엑스에서 1집 발매 기념 아시아 투어를 앞두고 기자들을 만나 “주변에서 많이 걱정도 하고 격려도 해 줬는데 좋은 록 음악이 만들어졌다”고 말하며 뿌듯해했다.

지난 2004년 가요계에 발을 들인 그는 올해로 데뷔 10년째를 맞았다. 그동안 그룹 JYJ의 이름으로 전 세계에서 공연을 펼쳤고, 안방극장과 스크린에서 ‘배우 김재중’으로도 이름을 알렸다.

이어 지난 1월 첫 솔로 음반 ‘아이(I)’를 통해 아이돌의 옷을 벗고 로커에 변신했고, 9개월 만에 첫 정규 음반이라는 결과물을 냈다.

”록은 어릴 적부터 좋아하는 장르였지만, 전문적으로 시도하기에는 고민도 많았죠. 음악을 듣는 자유는 있지만 할 자유는 많지 않다는 말도 있잖아요.”

그는 그러나 “앞으로 무엇을 해야 할 지 고민을 하며 새로운 자극제가 필요했다”며 “나 같은 경우 더는 ‘성장통’을 느끼지 못할 때가 가장 힘든 시기다. 새로운 목표를 가지고 또 다른 성장통을 겪으며 좋은 음악을 들려 줄 때 행복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록을 한 번 정도 도전하고 시도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겠다는 생각에 도전정신으로 시도했어요. 지난 음반은 김바다 선배님의 영향을 받았다면, 이번 정규 음반에서는 저만의 색깔을 보여 드릴 수 있는 노래를 수록하려 했습니다.”

김재중은 ‘사랑’을 주제로 그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Who, When, Why’를 앨범명으로 정했다. 앨범에는 거친 사운드와 팝 멜로디가 어우러진 타이틀곡 ‘저스트 어나더 걸(Just Another Girl)’을 비롯해 일본 유명 밴드 글레이의 다쿠로가 선물한 J-록 ‘모뎀 비트(Modem Beat)’, ‘선배 로커’ 윤도현이 만든 ‘나우 이즈 굿(Now Is Good)’ 등 13곡이 담겼다.

”사랑을 하려면 그 상대, 언제 어떤 장소에서 만나는지, 왜 사랑을 하는지 이 세 가지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세 단어를 조합해 ‘WWW’라는 앨범명이 나왔죠. 둥글게 이야기한 노래도 있고, 직설적으로 표현한 가사도 있습니다.”

그는 “록이라고 해서 반드시 헤비(Heavy)하고 하드(Hard)한 것이 아니라 록 적인 요소가 들어간 가벼운 곡들도 들어 있다”고 부연했다.

김재중은 1집 발매를 기념해 2-3일 서울을 시작으로 15-16일 일본 요코하마, 23일 대만, 다음 달 7일 중국 난징에서 아시아투어 ‘김재중 1st 앨범 아시아 투어 콘서트’를 연다.

지난 2일 공연에서는 가수 김범수와 문명진이 게스트로 출연해 합동 무대를 꾸몄고, 3일 공연에서는 한솥밥을 먹게 된 가수 거미가 등장해 한층 풍성한 무대를 선보일 계획이다.

”이번 앨범 곡들이 전체적으로 음역대가 높아요. 그래서 공연에서 컨디션이 잘 조절될 수 있을지 걱정도 많았죠. 그런데 어제 공연을 해보니 생각보다 괜찮았어요. 우려했던 것보다는 많이 즐길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하하.”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