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림성당 종탑 제주도 등록문화재 등록 예고

한림성당 종탑 제주도 등록문화재 등록 예고

강동삼 기자
강동삼 기자
입력 2022-05-04 10:38
수정 2022-05-04 10:3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제주도 세계유산본부는 1955년 건립된 한림성당 종탑을 도 등록문화재로 등록예고했다. -제주도세계유산본부 제공
제주도 세계유산본부는 1955년 건립된 한림성당 종탑을 도 등록문화재로 등록예고했다.
-제주도세계유산본부 제공
옛 한림성당 종탑이 제주특별자치도 등록문화재로 등록된다.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본부장 변덕승)는 1955년 건립된 ‘옛 한림성당 종탑’을 도 등록문화재로 등록 예고하고 30일동안 의견 수렴을 거쳐 등록문화재로 지정한다고 4일 밝혔다.

등록문화재는 지정문화재가 아닌 문화재 중 건설·제작·형성된 후 50년 이상 지난 것으로 향토문화 보존상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것을 지정한다.

제주시 한림읍 대림리에 위치한 옛 한림성당은 제주 근현대사에 있어 제주도민의 경제적 자립 등 지역발전에 큰 역할을 한 임피제(맥그린치) 신부의 주도 아래 1955년 건립된 건축물이다. 지난 1999년 도로 확장공사로 본당이 철거돼 현재는 종탑만 보존돼 있다.

종탑은 연면적 30.15㎡, 지상 3층(높이 13.25m) 규모다.

세계유산본부는 ‘옛 한림성당 종탑’이 제주 현무암을 사용하는 등 당시 건축방식을 간직한 탑 외벽과 지붕틀, 종교적 의미를 지닌 종탑 특유의 조형적 형태가 고스란히 잘 남아 있어 그 가치가 높다고 보고 등록문화재 지정을 추진해 왔다.

이와 함께 조선시대 통신시설 중 하나인 ‘봉수’ 중 축조 당시의 원형이 잘 보존된 ‘만조봉수터’와 ‘고내봉수터’는 향토유형유산으로 지정됐다.
이미지 확대
만조봉수터 -제주도세계유산본부 제공
만조봉수터
-제주도세계유산본부 제공
‘만조봉수터’는 제주시 한림읍 상명리 느지리오름 해발고도 225m 정상부에 위치해 있다. 중심부에서 둑을 돌아가며 이중으로 쌓고, 그 사이에 도랑을 만들어 다시 한 단을 높게 둥근 봉우리 모양으로 흙을 쌓은 형태로 1653년(효종 4년) 이전에 축조된 것으로 확인됐다.
고내봉수터-제주도세계유산본부 제공
고내봉수터-제주도세계유산본부 제공
제주시 애월읍 고내리 고내봉 해발고도 175m 정상부에 위치한 ‘고내봉수터’는 중앙에 원형으로 흙을 쌓고, 그 주변에 도랑을 만든 형태로 1454년(단종 2년) 이전에 축조된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도는 현재까지 도 등록문화재 8건, 향토유형유산은 35건을 등록·지정해 관리하고 있다.

변덕승 제주도 세계유산본부장은 “앞으로도 보존 가치가 큰 제주 역사문화자원의 발굴·보존·관리를 위해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