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폰에 ‘의료정보’ 등록하세요”…이태원 참사에 ‘위급상황 대비책’ 공유 [이슈픽]

“폰에 ‘의료정보’ 등록하세요”…이태원 참사에 ‘위급상황 대비책’ 공유 [이슈픽]

김민지 기자
김민지 기자
입력 2022-11-01 10:34
수정 2022-11-01 10:4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난 29일 서울 용산구 이태원에서 대형 참사로 155명이 안타깝게 숨진 가운데, 온라인상에서 응급 상황에 대비해놓자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1일 트위터와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는 “긴급의료정보 등록 꼭 해놓자”는 글이 공유됐다. ‘긴급 의료정보’는 핸드폰 소유자가 의식을 잃었을 때 신원확인이 필요한 상황 등에 대비해 본인의 건강상태, 혈액형, 긴급연락처 등을 적어놓는 것이다.

실제로 이태원 참사 당시 많은 환자가 의식이 없어 가족이나 지인에게 빠르게 연락을 할 수 없었다. 사망자가 154명이었을 당시 모두의 신원확인이 완료된 것은 31일 오후 2시쯤이었다.

‘긴급 의료정보’에 관련 정보를 등록해놓는다면, 응급구조인력 등은 환자의 주요 사항을 인지하고, 긴급 연락처에 등록된 사람에게 빠르게 연락할 수 있다. 위급상황에 대비하는 기능이지만 의료진·경찰이 아닌 사람이 휴대전화를 습득할 경우, 잠금 해제 없이도 개인정보를 볼 수 있다는 단점도 있다.

● 아이폰 등록 이렇게
아이폰 ‘의료정보’ 등록 방법. 서울신문DB
아이폰 ‘의료정보’ 등록 방법. 서울신문DB
아이폰의 경우 ‘건강’ 앱에서 등록할 수 있다. ‘요약’ 탭에서 건강 앱 오른쪽 상단 프로필 사진을 클릭 후 프로필 사진 아래 ‘의료 정보’를 들어간다. 거기서 이름, 생년월일, 체중, 신장, 장기기증 유무, 기저 질환, 알레르기, 투여약, 혈액형 등 정보를 적을 수 있고, 가족이나 지인 등의 긴급 연락처를 추가할 수 있다.

위험상황에 대비해 잠금을 해제하지 않은 상태에서 타인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잠겨 있을 때 보기’를 꼭 켜주는 것을 권장한다.
의료 정보는 잠금 상태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서울신문DB
의료 정보는 잠금 상태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서울신문DB
● 갤럭시 등록 이렇게 안드로이드폰의 경우 ‘설정→안전 및 긴급’으로 들어간 후 ‘의료정보’ 탭에서 등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자신의 건강상태, 기저질환, 알레르기, 복용 중인 약, 혈액형, 의료진이 알아야 할 정보 등을 입력해놓으면 된다.



긴급 연락처는 ‘안전 및 긴급’으로 들어간 후 ‘긴급 연락처’ 항목에서 추가할 수 있다.
갤럭시‘의료정보’ 등록 방법. 서울신문DB
갤럭시‘의료정보’ 등록 방법. 서울신문DB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