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0년 역사를 간직한 국보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이 40여 년 만에 대대적인 보수 공사에 들어간다.
24일 국가유산청에 따르면 국가유산수리기술위원회는 지난해 열린 회의에서 국보인 무위사 극락보전의 해체·보수 안건을 심의해 조건부 가결했다.
이미지 확대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의 모습. 국가유산청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의 모습. 국가유산청 제공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이 펴낸 ‘2021년 중점관리대상 모니터링 결과보고서’에 따르면 극락보전은 구조 안전 점검에서 수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E등급’을 받았다. 이에 국가유산청은 2022년부터 극락보전 건물 전체를 해체해 보수하는 방안을 검토해 왔다.
국가유산청은 “현지 조사 결과를 토대로 극락보전은 전체 해체해 보수하고, (극락보전 내) 벽화는 해체하고 옮겨 보존 처리를 추진하겠다”고 검토 의견을 냈다.
현재 극락보전 안에는 불단 후불벽화가 남아있다. 불상 뒤에 놓인 후불벽 앞면에는 국보 ‘강진 무위사 극락전 아미타여래삼존벽화’가, 뒷면에는 보물 ‘무위사 극락전 백의관음도’가 그려져 있다. 위원회 측은 “후불벽화 해체 순서와 관련해 기술지도단 등 관계 전문가의 조언을 들어 진행한다는 점을 시방서에 명기하고 진행”하라는 조건을 내걸었다.
극락보전 보수 공사에는 5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국가유산청은 내다봤다.
윤수경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