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동관 비단벌레 날개장식 최초 발견…신라 눈부신 공예기술 짐작

금동관 비단벌레 날개장식 최초 발견…신라 눈부신 공예기술 짐작

윤수경 기자
윤수경 기자
입력 2025-05-21 15:49
수정 2025-05-21 15: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경주 황남동 120-2호분 금동관 출토 상태. 국가유산청 제공
경주 황남동 120-2호분 금동관 출토 상태.
국가유산청 제공


경주 황남동에서 출토된 금동관에서 비단벌레 날개장식이 처음으로 발견됐다. 그동안 말갖춤(안장 등 말에 장착했던 도구), 허리띠 등에서 비단벌레 날개가 발견된 사례가 있었지만, 금동관에서 확인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국가유산청은 경주시와 신라왕경 핵심유적 복원·정비사업으로 추진 중인 경주 황남동 120호분 발굴조사 중 2020년 출토된 금동관 보존처리 과정에서 비단벌레 날개 장식을 확인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에 비단벌레 날개장식이 발견된 금동관은 4단 출(出)자 모양 세움장식 3개, 사슴뿔 모양 세움장식 2개, 관테로 구성돼 있다. 세움장식과 관테는 거꾸로 된 하트모양 구멍을 뚫어 장식했는데, 이 구멍 뒤쪽에 비단벌레 날개가 붙어있는 것을 확인했다. 금동관 곳곳에 뚫은 구멍을 화려한 빛깔의 비단벌레 날개로 메워 장식했던 것으로 국가유산청은 추정했다.

이미지 확대
금동관 모식도 및 비단벌레 날개 확인 위치 (① 출자형 세움장식 중앙 끝단 3매 / ②,③ 출자형 세움장식 좌우 끝단 각 1매 / ④ 관테 1매 / ⑤사슴뿔형 세움장식 1매)  국가유산청 제공
금동관 모식도 및 비단벌레 날개 확인 위치 (① 출자형 세움장식 중앙 끝단 3매 / ②,③ 출자형 세움장식 좌우 끝단 각 1매 / ④ 관테 1매 / ⑤사슴뿔형 세움장식 1매)
국가유산청 제공


비단벌레 날개장식은 지금까지 모두 13곳에서 15장이 흡착과 흡수가 진행된 채 발견됐다. 금동관 원래 위치에 붙어있는 날개장식은 7장, 나머지 8장은 관에서 떨어져 주변에 흩어져 있었다. 현재 발견된 날개는 대부분 검게 변했지만 부분적으로는 원래 빛깔이 남아 있는 것도 있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신라 공예기술에서 비단벌레 날개 사용 범위를 확장시켰다는 점에서도 그 의미가 크다”며 “특히 금동관에서 보이는 출(出)자 모양 세움장식이 학계에서 신라 왕족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여겨지는 만큼, 비단벌레 날개장식은 단순한 미적 표현을 넘어 착용한 사람의 사회적 위상을 짐작하게 하는 동시에 화려했던 신라 공예기술과 지배계층 문화의 관계를 보여주는 자료로서 학술적 가치가 높다”고 설명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