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만, 총총’ 편지에 담긴 미술인의 우정과 격려 엿보는 전시

‘이만, 총총’ 편지에 담긴 미술인의 우정과 격려 엿보는 전시

윤수경 기자
윤수경 기자
입력 2025-05-23 13:15
수정 2025-05-23 17:3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앞으로 좀더 열심히 공부하고 힘써 좋은 작품을 만들어서 부끄럽지 않은 작가가 되도록 노력하겠읍니다. 저에게도 고국에서 따뜻이 아껴주고 감싸주는 선생님이 계신다는 것은 더없이 기쁘고 든든한 일입니다.”

1969년 일본에서 활동하던 서른 살 화가 이우환이 선배 이세득에게 보낸 편지에는 앞으로의 계획과 각오, 또 감사의 마음이 가득 담겼다.

이미지 확대
이우환 화백이 선배 화가 이세득에게 1968년 보낸 편지.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제공
이우환 화백이 선배 화가 이세득에게 1968년 보낸 편지.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제공


오는 26일부터 한국 근현대 미술인들의 편지를 통해 그들의 우정과 고민을 엿볼 수 있는 전시가 열린다.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은 특별전 ‘이만, 총총: 미술인의 편지’를 개최한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전시는 박물관이 소장한 한국 근현대 미술인들의 편지, 엽서, 봉투 등 총 136점의 친필 자료를 선별해 선보이는 자리다. 백남준의 아내 구보다 시게코를 비롯해 김기창과 김환기, 박서보, 백남순, 백남준, 오광수, 오지호, 이우환, 장우성에 이르기까지 작가와 평론가, 갤러리 대표 등이 주고받은 편지와 봉투, 엽서를 만날 수 있다.

이미지 확대
1962년 9월 4일 김환기가 신종섭에게 보낸 엽서.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제공
1962년 9월 4일 김환기가 신종섭에게 보낸 엽서.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제공


전시 제목에 쓰인 ‘총총‘(悤悤)은 원래 바삐 걷는 모양의 의태어다. 편지 종결 시 사용된 작별 인사와 ‘별이 빛나는 모양’을 뜻하는 순우리말 ‘총총’의 두 가지 의미를 담고 있다. 편지를 단순한 기록을 넘어 다면적인 의미를 지닌 미술 아카이브로 탐색한다는 기획 의도를 나타낸다.

1부 ‘시대를 말하는 글월’에서는 1927년부터 2014년까지의 편지 자료를 통해 시대의 흐름을 읽어낸다. 특히 ‘조선어독본’은 근대 서간문 교육 문화를 엿볼 수 있는 자료다. 20세기 중반 글을 낭독해 주던 직업인 ‘전기수’에서 착안한 사운드 아카이브 프로젝트 ‘미술인의 편지’는 주요 편지 8점을 음성화해 관람객을 당시 편지가 오가던 시대로 이끌 예정이다.

2부 ‘인연을 띄우는 서신’은 미술인들의 다양한 관계를 조명한다. 김환기, 이우환, 박경란 등 미술인들이 주고받은 편지 속에는 존경, 격려, 미안함, 고마움 등 다채로운 감정들이 담겨 있어 미술인들의 희로애락과 인연을 엿볼 수 있다. 전시장 중앙에 별처럼 매달린 편지들은 관계의 순환을 상징한다.

이미지 확대
백남준의 30대 시절 친필 편지. 1968년 월간 ‘공간’ 8월호에 ‘뉴욕단상’이란 기고를 실으면서 오광수 당시 편집장에게 원고와 함께 보냈던 것이다.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제공
백남준의 30대 시절 친필 편지. 1968년 월간 ‘공간’ 8월호에 ‘뉴욕단상’이란 기고를 실으면서 오광수 당시 편집장에게 원고와 함께 보냈던 것이다.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제공


3부 ‘편지 속 발자취, 총총’에서는 편지와 작품, 미술 아카이브를 함께 전시하여 미술인들의 발자취를 입체적으로 조망한다. 백남준의 1968년 친필 원고와 작품, 오광수와 김청정이 주고받은 25통의 편지 등을 통해 몰랐던 미술사적 사실들을 만날 수 있다. 더불어 이번 전시를 위해 새롭게 수집된 장우성, 하인두, 강정식, 신옥진 등의 편지 자료들도 함께 공개된다.

김달진 관장은 “이번 전시는 편지라는 아카이브를 통해 미술인들의 일상과 독특한 필체, 그리고 미술사적 사실을 만나는 중요한 경험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