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민 100명의 손 글씨 기반으로 완성한 글꼴

세종시가 15일 첫선을 보인 공공 서체 ‘세종 자으미 모으미체’. 세종시 제공
세종시와 세종문화관광재단이 제579돌 한글날을 맞아 한글 문화도시 세종만의 공공 서체 ‘세종 자으미 모으미체’를 선보였다.
15일 시에 따르면 ‘세종 자으미 모으미체’는 한글의 아름다움을 알리기 위해 지난 6월부터 시민들이 직접 써 낸 자신의 이름 손 글씨를 기반으로 전문가 작업을 거쳐 완성했다. 글꼴은 흑백·색상 2개 종류로 개발됐으며 색상은 한글 2780자와 영문 94자, 흑백은 한글 1만 1172자, 영문 94자를 각각 지원한다.
트루타입글꼴(TTF)과 오픈타입글꼴(OTF), 웹오픈폰트포멧(WOFF) 등 다양한 파일 형식으로 인쇄물과 웹사이트, 모바일앱 등 다양한 환경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글꼴은 한글 문화도시 세종시 공식 누리집(www.한글문화도시.kr)에서 누구나 무료로 내려받을 수 있다. 다만 글꼴을 유료로 양도하거나 판매하는 등 상업적 행위와 변형해 재배포하는 행위는 금지된다.
세종 자으미 모으미체는 공공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해 한글문화를 확산하고 도시의 가치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세종시민 100명이 직접 참여해 만든 세종의 정체성을 담은 특별한 글꼴”이라며 “한글에 관한 관심과 자긍심이 높아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