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지킴이‘를 찾아서] 선조들 유산 지키는 고사리손들

[‘문화재 지킴이‘를 찾아서] 선조들 유산 지키는 고사리손들

김승훈 기자
입력 2016-08-30 21:20
수정 2016-08-30 22: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인천 경원초 문화재지킴이 새싹들

초교 동아리로 확산된 ‘풀뿌리 활동’
月1회 청소 등 관리하며 의미 되새겨


“우리 지역에 이렇게 많은 문화재가 있는 줄 몰랐어요. 내 손으로 우리 지역 선조들이 남긴 문화재를 지킨다는 데 자부심도 느끼고 뿌듯해요.”

이미지 확대
지난 6월 인천 남구의 인천향교를 찾은 아이들이 정화 활동에 앞서 문화재 전문가에게서 고택 청소 방법 등에 대해 설명을 듣고 있다.
지난 6월 인천 남구의 인천향교를 찾은 아이들이 정화 활동에 앞서 문화재 전문가에게서 고택 청소 방법 등에 대해 설명을 듣고 있다.
지역 문화재를 지키기 위해 고사리손들이 나섰다. 인천 경원초등학교 문화재지킴이 동아리 ‘감성봉사동아리’와 ‘나눔누리단’이다. 1990년대 성인 중심의 시민단체에서 시작된 문화재지킴이 활동이 중·고교를 넘어 초등학교까지 확산되면서 진정한 풀뿌리 활동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감성봉사동아리와 나눔누리단은 지난 4월 4·5학년 30여명이 주축이 돼 출범했다. 4학년으로 이뤄진 감성봉사동아리는 정영선(40) 교사가, 5학년 중심의 나눔누리단은 전성집(48) 교사가 이끌고 있다. 정영선 교사는 “문화재지킴이 활동은 학교 정화 활동 등 학교 사랑이 지역 사랑으로 넓어진 결과”라고 했다.

두 동아리는 매달 한 번씩, 둘째 주 또는 넷째 주 토요일에 지킴이 활동을 한다. 지역 문화재 현장을 찾아 쓰레기를 줍거나 잡초를 뽑는 등 정화활동을 하고, 문화재 전문가에게서 해당 문화재의 유래, 의미, 역사 등도 배운다. 지난 4월 9일 인천 동구 영화관광경영고에서 문화재지킴이 교육을 받은 이후 1907년 건립된 창영초등학교(인천유형문화재 제16호), 1908년 축조된 석문인 홍예문(인천유형문화재 제49호), 1892년 개점한 일본58은행 인천지점(인천유형문화재 제19호) 등 지역 내 여러 문화재를 찾아 지킴이 활동을 했다.

5학년 권가원양은 “인천향교에 갔을 때 파손된 부분을 복원한 걸 보고 마음이 아팠다”며 “원형이 그대로 보존돼 전해졌으면 좋았을 텐데, 원모습을 잃어버린 것 같아 슬펐다”고 했다. 5학년 강민지양은 “선생님께서 문화재에 대해 자세히 설명을 해 줘 몰랐던 것까지 알게 돼 보람도 크다”고 말했다. 전성집 교사는 “현장에서 아이들이 진심을 다해 문화재를 아끼고 위하는 모습을 볼 때면 코끝이 찡해진다”고 했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6-08-31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