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화여고 본관·과학관 문화재 등록

배화여고 본관·과학관 문화재 등록

조희선 기자
조희선 기자
입력 2017-01-06 22:40
수정 2017-01-07 01:4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일제강점기에 지어진 서울 종로구 필운동 배화여고 본관과 과학관이 등록문화재가 됐다. 문화재청은 배화여고 과학관을 등록문화재 제672호 ‘서울 배화학원 캐롤라이나관’, 배화여고 본관을 등록문화재 제673호 ‘서울 배화여자고등학교 캠벨기념관’으로 각각 등록했다고 6일 밝혔다. 두 건물은 근대 여성 교육시설로의 보존·활용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받는다.배화여고는 미국인 선교사 캠벨(1852~1920)이 1898년 여성 교육과 개신교 전파를 목적으로 종로구 내자동에 설립했다가 1915년 지금의 필운동 자리로 이전했다. 1898년 배화학당 설립 당시 이름인 ‘캐롤라이나 학당’에서 이름을 딴 ‘서울 배화학원 캐롤라이나관’은 1915년 2층 규모로 건립됐고, 1922년 3층과 4층(지붕층)을 증축했다. 1926년 건립된 ‘서울 배화여자고등학교 캠벨기념관’은 4층(지붕층 포함) 건물로 1977년 대규모 보수를 거쳤으나 원형이 잘 보존돼 있다. 철근 콘크리트 상인방(上引枋·입구 위에 수평으로 가로질러 놓는 석재)을 사용해 커다란 창호를 설치한 점이 특징이다.

조희선 기자 hsncho@seoul.co.kr

2017-01-07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5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서울시 마스코트 ‘해치’가 탄생 1주년을 맞이했다. 전세계 지자체 마스코트 중 가장 유명한 일본 구마모토현의 ‘쿠마몬’도 올해로 14살을 맞이했다. 우리나라 지자체들도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마스코트를 앞다투어 만들고 교체하고 있다. 이런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활용에 대한 구체적 계획이 없어 예산낭비다.
지역 정체성 홍보를 위해서 꼭 필요하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