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가 못 가”… 가장 오래된 ‘한글편지’ 보물로

“휴가 못 가”… 가장 오래된 ‘한글편지’ 보물로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2-12-29 20:22
수정 2022-12-30 09: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조선 초 하급군관 나신걸의 편지
훈민정음 반포 언어 실상 보여줘
서울 청룡사 괘불 등도 함께 지정

이미지 확대
29일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된 나신걸 한글편지. 문화재청 제공
29일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된 나신걸 한글편지.
문화재청 제공
“집에 가 어머님이랑 아기랑 다 반가이 보고 가고자 하다가 장수가 혼자 가시며 날 못 가게 하시니, 못 가서 못 다녀가네. 이런 민망하고 서러운 일이 어디에 있을꼬?”

휴가 좀 내고 싶은 부하를 굳이 못 가게 막는 꽉 막힌 상사는 조선 시대에도 있었나 보다. 자신의 행적이 후대에 길이길이 남아 보물까지 될 것을 생각했다면 차라리 보내 주는 게 나았을지 모르겠다. 부하 직원의 절절한 서러움이 담긴 가장 오래된 한글편지 ‘나신걸 한글편지’가 29일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됐다.

이 편지는 조선 초기 하급 군관인 나신걸(1461~1524)이 아내 신창맹씨에게 한글로 써서 보낸 편지 2장으로 구성됐다. 2011년 대전 유성구 금고동에 있던 조선 시대 신창맹씨 묘 안 피장자의 머리맡에서 여러 번 접힌 상태로 발견됐다.

편지에 1470~1498년 쓰인 함경도의 옛 지명인 ‘영안도’가 보이고, 나신걸이 1490년대 함경도에서 군관 생활을 했다는 점에서 이때 작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빼곡히 쓴 편지에는 가족에 대한 그리움, 농사일을 잘 챙기며 소소한 가정사를 살펴봐 달라는 내용 등이 적혀 있어 조선 시대 평범한 가장의 면모를 엿볼 수 있다.

훈민정음이 1446년 반포됐고, 편지가 1490년대에 쓰였다는 점에서 사료로서 가치가 높다. 한글은 조선 시대 여성 중심의 글로 인식됐는데, 한양에서 멀리 떨어진 변방의 하급 관리까지 쓴 것을 보면 조선 초기 한글이 백성들의 실생활에서 널리 사용됐음을 알려 준다. 또한 15세기 언어생활을 보여 주는 자료로서 학술적으로도 의의가 크다.
이미지 확대
29일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된 창녕 관룡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문화재청 제공
29일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된 창녕 관룡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문화재청 제공
이미지 확대
29일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된 서울 청룡사 비로자나불 삼신괘불도. 문화재청 제공
29일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된 서울 청룡사 비로자나불 삼신괘불도.
문화재청 제공
문화재청은 이날 ‘창녕 관룡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과 ‘서울 청룡사 비로자나불 삼신괘불도’도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

관룡사 유물은 조각승 응혜를 비롯해 9명의 조각승이 1652년 3월 완성해 관룡사 명부전에 봉안한 17구의 불상이다. ‘서울 청룡사 비로자나불 삼신괘불도’는 1806년 순조와 순원왕후의 장수를 기원하며 상궁 최씨가 발원하고, 5명의 화승이 참여해 제작한 대형불화다. 궁녀가 발원해 조성한 왕실 발원 불화로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
2022-12-30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