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달 1일부터… 앙굴렘 출품작 등 전시
올해 초 ‘제41회 프랑스 앙굴렘 국제만화페스티벌’에 출품돼 국제사회의 반향을 불러일으킨 일본군 위안부와 관련된 만화작품들이 국내에 소개된다.

‘아직 끝나지 않은 우리들의 이야기’란 주제로 펼쳐지는 전시는 위안부 피해가 과거사가 아닌 현재진행형의 문제이자 세계 각지 분쟁지역의 여성·아동 대상 성폭력과 잇닿은 ‘보편적 인권침해’라는 관점으로 구성됐다.
전시에는 ‘나비의 노래’(김광성), ‘오리발 니뽄도’(이현세), ‘꽃반지’(탁영호), ‘우린 어디로 가고 있는가?’(최인선) 등 앙굴렘 페스티벌에 출품된 만화작품 22편을 비롯해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이 직접 그린 그림, 국내 기관들이 보유한 위안부 피해자 구술집 등 역사 자료, 피해자 증언을 토대로 제작한 영상물 등이 전시된다. 위안부 피해자인 김순덕 할머니가 그린 ‘끌려가는 날’(복사본) 외에 일본군 위안소 관리인의 일기, 수용인원 명부 등은 일제의 만행을 고발하는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또 ‘소녀이야기’ 등 영상물은 가슴시린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한(恨)을 다룬다.
세계 최대의 만화 축제인 앙굴렘 페스티벌에서는 국내 만화작가들이 특별전 ‘지지 않는 꽃’을 통해 전 세계 기자 800여 명과 작가 1600여 명, 관람객 25만 명 앞에서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실상을 생생하게 증언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일본 정부는 프랑스 주재 일본대사관을 통해 앙굴렘 사무국에 민간이 개최하는 만화축제에서 위안부 문제를 다루는 것은 부적절하다며 금지시켜 달라고 공식 요청했었다. 하지만 필리프 라보 앙굴렘 시장은 “우리가 꼭 알아야 할 위안부 관련 역사를 만화를 통해 소개하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며 이를 거절했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4-02-27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