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이 살지만 따로 노는 샴쌍둥이 같은 인간관계

같이 살지만 따로 노는 샴쌍둥이 같은 인간관계

입력 2014-08-27 00:00
수정 2014-08-27 02:0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일 연출가 노다 히데키 ‘반신’… 한국 배우·일본 스태프 호흡

일본에서 매우 주목받는 연출가 중 한 명인 노다 히데키(59)의 재기 발랄한 작품 세계를 다시 만날 수 있게 됐다. 다음달 12일부터 서울 중구 명동예술극장 무대에 오르는 연극 ‘반신’은 일본 순정만화의 대모로 불리는 하기오 모토의 동명 단편만화를 각색한 것으로, 일본 스태프와 한국 배우들이 호흡을 맞췄다. 한국에서의 공연은 지난해 ‘더 비’(The Bee) 이후 1년, 공동 제작은 2005년 ‘빨간 도깨비’ 이후 9년 만이다.

이미지 확대
일본 연출가 노다 히데키의 연극 ‘반신’에서 샴쌍둥이로 분한 배우 주인영(오른쪽)과 전성민. 이들은 이번 공연의 준비 과정이 마치 놀이를 하듯 상상력을 끌어내는 것이었다고 입을 모았다.  명동예술극장 제공
일본 연출가 노다 히데키의 연극 ‘반신’에서 샴쌍둥이로 분한 배우 주인영(오른쪽)과 전성민. 이들은 이번 공연의 준비 과정이 마치 놀이를 하듯 상상력을 끌어내는 것이었다고 입을 모았다.
명동예술극장 제공
그의 작품은 이성적으로 완결된 틀을 갖춘 연극에서 저만치 떨어져 있다. 풍부한 상상력과 어디로 튈지 모르는 극적 전개, 곳곳에 숨은 언어유희 등은 난해해 보이지만 그 안에서 인간의 단면을 짜릿하게 꿰뚫는 철학적 사유를 발견할 수 있다. ‘반신’은 그가 창단한 극단 ‘유메노유민사’가 1986년 초연한 작품으로, 그의 20대 시절 작품 세계를 엿볼 수 있다. 26일 중구 남산창작센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그는 “만화가 가지고 있는 엔터테인먼트 성질과 시각적 특성을 도입했으며 배우들의 신체성도 십분 살렸다”면서 “만화를 각색한 연극은 많지만 초연 당시에는 이 같은 시도가 없었다”고 말했다.

‘반신’은 몸이 하나로 붙어 있는 9세 샴쌍둥이 슈라와 마리아의 이야기다. 언니인 슈라는 자신의 몸에 기생하면서 자신보다 더 많은 사랑을 받는 동생 마리아를 시샘한다. ‘자아’와 ‘타자’의 존재를 자각하게 된 슈라는 동생으로부터의 탈출과 사랑을 갈구한다. 연극은 말 그대로 ‘만화 같다’는 표현에 부합하는 기상천외한 전개로 자매의 여정을 따라간다. 12명의 배우가 연극 연습을 하며 쌍둥이의 이야기를 보여주는 극중극 형식으로 전개된다. 슈라의 상상 속 요괴들의 세계와 슈라와 마리아의 사후세계 등 수시로 시공간을 이탈하며 현실과 환상의 경계를 허문다.

난해하고 비현실적인 연극이 이야기하는 건 결국 인간관계의 본질이다. 다른 자아가 한 몸을 공유하는 샴쌍둥이는 더불어 살아야 하는 인간 사회의 은유다. 양보와 희생이 수반되는 불평등한 관계라도 어쩔 수 없이 관계를 이어 가며 살아야 한다. 노다 히데키는 “사람은 누구나 타인을 갈구하지만 작품 속의 자매는 혼자가 되고 싶다는 역설적인 욕망을 가지고 있다”면서 “자아와 타자를 인식하고 갈등하는 주제가 갖는 보편성으로 한국 관객들에게 다가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상상의 세계를 펼쳐내는 연극인 만큼 배우들의 신체 연기도 두드러진다고 그는 설명했다. 그는 “슈라의 상상 속에 등장하는 요괴들은 보이지 않는 관념을 신체 연기로 보여주는 역할”이라면서 “연습을 하면서 한국 배우들이 신체 표현이 뛰어나다는 인상을 받았다”고 말했다. 노다 히데키가 예술감독으로 몸담고 있는 일본 도쿄예술극장과 한국의 명동예술극장이 손을 잡은 ‘반신’은 서울 공연 이후 도쿄예술극장 무대에도 오를 예정이다. 10월 5일까지 명동예술극장. 2만~5만원. 1644-2003.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4-08-27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4 / 5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서울시 마스코트 ‘해치’가 탄생 1주년을 맞이했다. 전세계 지자체 마스코트 중 가장 유명한 일본 구마모토현의 ‘쿠마몬’도 올해로 14살을 맞이했다. 우리나라 지자체들도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마스코트를 앞다투어 만들고 교체하고 있다. 이런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활용에 대한 구체적 계획이 없어 예산낭비다.
지역 정체성 홍보를 위해서 꼭 필요하다.
3 / 5
3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