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 돼지’ 만나서 새해 꿈 이루면 되지

‘행복한 돼지’ 만나서 새해 꿈 이루면 되지

조희선 기자
조희선 기자
입력 2018-12-24 18:02
수정 2018-12-25 03: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립민속박물관 기해년 특별전… 기와·이발소 그림 등 70여점 전시

이미지 확대
돼지 모양의 저금통.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돼지 모양의 저금통.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2019년은 풍요와 다산을 상징하는 ‘돼지의 해’ 기해년(己亥年)이다. 십이지신 가운데 12번째인 돼지는 보통 게으른 동물로 인식되지만 전통적으로 성(聖)과 속(俗)을 넘나드는 건강한 존재였다. 새해를 맞아 잡귀를 몰아내는 신장(神將·사방의 잡귀나 악신을 몰아내는 신)이자 인간과 가장 가까운 친구인 돼지를 전시로 만나보는 건 어떨까.

국립민속박물관이 마련한 특별전 ‘행복한 돼지’는 돼지를 ‘인간의 수호신’, ‘선조의 동반자’, ‘현대의 자화상’이라는 세 측면으로 나눠서 조명한다.
이미지 확대
십이지신 중에서 돼지 해신(亥神)인 비갈라대장(毘乫羅大將)을 그린 불화.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십이지신 중에서 돼지 해신(亥神)인 비갈라대장(毘乫羅大將)을 그린 불화.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원시사회에서 두려운 존재로 여겨졌던 돼지가 인간의 수호신으로 등장하는 예는 ‘서유기’에서 볼 수 있다. 악신(惡神) 저팔계는 삼장법사를 만나 불교에 귀의한 뒤 선한 수호신으로 변모했고, 돼지는 기와지붕의 추녀마루 위에 올리는 잡상(雜像)의 소재가 됐다. 불화에 등장하는 해신(亥神)인 비갈라대장(毘乫羅大將)은 가난해서 의복이 없는 이에게 옷을 전한 착한 신이다. 속세로 내려온 돼지는 인간의 반려자로서 마을 공동체의 결속을 다지는 제의를 지낼 때 제물로도 사용됐다. 현대에 와서 저축의 상징이 된 돼지를 보며 많은 사람들이 부자의 꿈을 키우기도 했다.
이미지 확대
1970~1980년대 이발소의 번성을 위해 걸어 놓은 돼지 그림.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1970~1980년대 이발소의 번성을 위해 걸어 놓은 돼지 그림.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특별전에서는 시대에 따른 돼지의 이 같은 상징적 의미를 유물과 사진, 영상 등 70여점을 통해 만나볼 수 있다. 화성 행궁에서 출토된 돼지 모양의 장식용 기와, 이성계가 돼지를 타고 내려와 조선을 건국했다는 내용이 담긴 책 ‘동각잡기’, 삶은 돼지를 담는 제기(祭器), 1970~1980년대 이발소의 번성을 위해 걸어 놓은 돼지 그림 등 다양한 유물이 소개된다. 체험 코너에서 기념 엽서에 새해 소망을 적는 기회도 놓치지 말자. 이번 전시는 내년 3월 1일까지 기획전시실Ⅱ에서 계속된다.

조희선 기자 hsncho@seoul.co.kr



2018-12-25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챗GPT의 성(性)적인 대화 허용...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글로벌 AI 서비스 업체들이 성적인 대화, 성애물 등 ‘19금(禁)’ 콘텐츠를 본격 허용하면서 미성년자 접근 제한, 자살·혐오 방지 등 AI 윤리·규제 논란이 한층 가열되고 있다. 챗GPT 개발사인 오픈AI도 ‘GPT-4o’의 새 버전 출시 계획을 알리며 성인 이용자에게 허용되는 콘텐츠 범위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19금 대화가 가능해지는 챗GPT에 대한 여러분은 생각은 어떤가요?
1. 찬성한다.
2. 반대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