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쑤~ 소리로 무대서 만나는 ‘노인과 바다’… 관객도 소리꾼

얼쑤~ 소리로 무대서 만나는 ‘노인과 바다’… 관객도 소리꾼

박성국 기자
박성국 기자
입력 2019-11-26 17:40
수정 2019-11-27 01: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자람 판소리로 재탄생한 소설 ‘청새치와 사투’ 소극장서 생생히

이미지 확대
소리꾼 이자람의 판소리 신작 ‘노인과 바다’ 공연 모습.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동명 소설을 판소리로 재해석했다. 두산아트센터 제공
소리꾼 이자람의 판소리 신작 ‘노인과 바다’ 공연 모습.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동명 소설을 판소리로 재해석했다. 두산아트센터 제공
작열하는 태양 아래 야자수 한 그루가 길쭉하게 솟는다. 그 풍경 너머 검푸른 바다가 거센 파도를 일으키며 일렁인다. 파도 한가운데 떠 있는 낚싯배 한 척. 구릿빛으로 그을린 노인이 억센 손으로 낚싯줄을 잡고 있다. 툭! 툭! 입질이 왔다. 손끝으로 깊은 바닷속 엄청난 무게감이 전해진다. 노인과 거대 청새치의 한판 싸움이 벌어진다.

어니스트 헤밍웨이가 종이 위에 그려 낸 쿠바의 바다가 서울의 한 지하 소극장에서 다시 생명을 얻고 선명하게 되살아 났다. 관객이 둘러싼 무대에 오른 사람은 두 명. 갓을 쓴 남자는 너른 도포 자락 휘날리며 북을 치고, 댕기 머리 곱게 땋은 여성은 부채를 휘두르며 걸쭉하고 차진 소리로 관객을 파고든다. 소리꾼 이자람(사진 왼쪽·40)의 판소리 신작 ‘노인과 바다’는 관객도 소리꾼이 되고, 장단을 맞추며 추임새를 넣는 고수가 되는 한 편의 소리 마당이다.

올해 상반기 창극 ‘패왕별희’에서 작창·음악감독으로, 하반기 총체극 ‘도리안 그레이의 초상’에서 극중 예술가 유진을 연기했던 이자람이 본연의 무대 화문석 위로 돌아왔다. 부채를 쥐고 고수 앞에 선 이자람은 열도의 바다에서 하얀 물거품을 일으키며 솟구치는 청새치 같았다. 희곡이나 근현대 소설을 판소리의 다양한 소재와 형식으로 개발해 온 이자람이 오롯이 소리만으로 소설을 무대 위로 구현해 냈다. “노인과 바다를 통해 관객을 만나고, 더욱 넓은 바다가 그려지기를 기원한다”던 소리꾼의 바람은 이미 실현된 듯했다.

26일 개막해 다음달 1일까지 서울 종로구 두산아트센터 스페이스111 무대에 오르는 이번 공연은 이미 티켓 오픈 3분 만에 전회차 매진됐다.

박성국 기자 psk@seoul.co.kr

2019-11-27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