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 콕! 이 전시]무채색 식물의 울림, 박상미 개인전 ‘모르는 계절’

[주말 콕! 이 전시]무채색 식물의 울림, 박상미 개인전 ‘모르는 계절’

이순녀 기자
이순녀 기자
입력 2020-06-13 09:00
수정 2020-06-13 09: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박상미, equanimity scene_같은 공간, 117x91cm, 장지에 수묵채색, 2020
박상미, equanimity scene_같은 공간, 117x91cm, 장지에 수묵채색, 2020
시절이 하 수상해서일까. ‘식물 화가‘로 알려진 박상미 작가가 4년 만에 연 개인전에서 선보인 작품들에선 수묵으로 그린 무채색 식물과 화려한 원색의 배경이 주는 대비가 한층 도드라지게 느껴진다. 아마도 자연의 계절은 전염병에 아랑곳없이 화사한 옷을 갈아입는데 온전히 그 계절을 즐기지 못하는 지금 우리의 무미건조한 현실과 겹쳐보이기 때문이리라. 그래서인지 ‘모르는 계절’이란 전시 제목이 더욱 애틋하게 다가온다.

장지 위에 먹과 채색을 활용해 독창적으로 표현한 식물 그림들은 박 작가가 데뷔 이래 지속적으로 발전시켜온 주제다. 시작은 외할머니의 정원에 대한 추억이었다. 외할머니는 잡풀 하나까지도 아름답게 키우는 타고난 정원사였다. 외할머니가 세상을 떠난 뒤 정원은 사라졌고, 작가는 영원할 수 없는 존재와 관계를 고민하며 식물을 그렸다. “힘들었던 20대 시절 아스팔트 사이로 자란 잡초가 내 처지 같았다”는 작가는 “초라하고 우울한 현실에서도 꿋꿋이 살아내는 잡초의 자생력을 담고 싶었다”고 했다.
박상미, 모르는 계절 I, 169x137cm, 장지에 수묵채색, 2020
박상미, 모르는 계절 I, 169x137cm, 장지에 수묵채색, 2020
유한한 관계와 존재에서 오는 상처와 불안은 화폭 안에 다양한 방식으로 표출됐다. 작은 화분에서 뻗어나와 사방을 뒤덮은 거대한 식물, 복잡하게 얽힌 인간관계를 비유하듯 실타래처럼 엉킨 둥근 식물은 위태롭고 쓸쓸하다. 형형색색 만개했지만 생화가 아닌 조화를 그린 그림에선 공허함이 묻어난다.

그러나 작가는 현실을 냉정히 바라보되 비관하지는 않는다. 서로가 ‘모르는 계절’ 속에서도 관계의 끈을 놓지 않고 앞으로 나아가고자 하는 생명력, 그것이 작가가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로 읽힌다. 6월 23일까지 서울 종로구 율곡로 이화익갤러리.

이순녀 선임기자 cora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