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서예 1세대의 역작이 한자리에

한국 서예 1세대의 역작이 한자리에

이순녀 기자
이순녀 기자
입력 2020-06-22 20:22
수정 2020-06-23 02: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예술의전당 ‘한국근대서예명가전’ 개막… 고봉주·김기승 등 23인 작품 120점 선봬

이미지 확대
석봉 고봉주, ‘진한유법(秦漢遺法)·조충지기(雕蟲之技)’. 각 135×33㎝, 연대 미상, 개인 소장.
석봉 고봉주, ‘진한유법(秦漢遺法)·조충지기(雕蟲之技)’. 각 135×33㎝, 연대 미상, 개인 소장.
한국 1세대 서예 대가들의 작품을 한자리에서 만나는 귀한 전시가 마련됐다. 예술의전당과 한국서예단체총연합회 공동 주최로 지난 20일 서예박물관에서 개막한 ‘한국근대서예명가전’이다.

전시에는 고봉주, 김기승, 김용진, 김응현, 김충현, 박병규, 박세림, 배길기, 서동균, 서병오, 서희환, 손재형, 송성용, 유희강, 이기우, 이철경, 정주상, 정환섭, 조수호, 최정균, 최중길, 현중화, 황욱 등 작고 서예가 23인의 작품 120여점이 나왔다. 구한말부터 전후까지 활발히 활동하며 근대서예의 시작을 알리고, 전성기를 이끈 인물들이다.

서예인들에게 이번 전시가 갖는 의미는 남다르다. 지난해 6월 ‘서예진흥법’ 제정을 계기로 여러 서예단체들이 뜻을 모아 연합회를 사단법인으로 공식 출범시켰고, 첫 사업으로 대규모 서예전을 기획했다. 1988년 문을 연 서예박물관에서 이처럼 많은 근대 서예가들의 작품이 한꺼번에 전시된 것도 드문 일이다. 침체된 서예의 위상을 재정립하고 대중화에 적극 나서겠다는 의지의 표명으로 읽힌다.

‘붓으로 한 시대를 풍미한 서예가’란 부제에 걸맞게 전시장에는 개성과 독창성 넘치는 명필로 가득 찼다. 전각서예의 불모지를 개척한 석봉 고봉주, 한글서예의 근대화를 이끈 일중 김충현, 법고창신의 정신으로 한글궁체를 꽃피운 갈물 이철경 선생을 비롯한 대가들의 역작이 관객의 시선을 붙든다. 지금은 코로나19 재확산 여파로 잠정 휴관 중인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의 ‘미술관에 書: 한국 근현대서예전’(7월 26일까지)과 추후에 함께 보면 더욱 뜻깊은 관람이 될 듯싶다. 전시는 8월 16일까지.

이순녀 선임기자 coral@seoul.co.kr

2020-06-23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