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의 가구 예술이 되다

일상의 가구 예술이 되다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22-11-13 17:36
수정 2022-11-14 01: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공예 장인 4명·디자이너 3명, 프리츠한센 제품에 한국 고유의 디자인 접목해 새 스타일 제시

‘영원한 아름다움’전

이미지 확대
정수화 칠장이 ANT 의자에 작업한 주칠(朱漆).
정수화 칠장이 ANT 의자에 작업한 주칠(朱漆).
일상을 예술로 바꿀 수 있을까. 19세기에 살았던 영국의 공예가이자 시인인 윌리엄 모리스는 순수한 조형물이나 상류층을 위한 공예품보다는 일상에서 많이 쓰는 물건에 담긴 아름다움이 진정한 아름다움이며 예술품이라고 주장했다. 그렇지만 많은 사람들은 의자나 탁자, 물병 같은 것을 보고 ‘예쁘다’ 혹은 ‘아름답다’고 하지만 ‘예술품’이라고 생각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이런 생각에 도전장을 던지는 전시회가 열렸다.
이미지 확대
정수화 칠장이 PKO A의자에 자개로 프리츠한센 로고를 새겼다.
정수화 칠장이 PKO A의자에 자개로 프리츠한센 로고를 새겼다.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이 세계적인 리빙브랜드 프리츠한센과 함께 지난 12일부터 옛 서울역사인 문화역서울284에서 ‘영원한 아름다움’이라는 제목으로 프리츠한센 150주년 기념전시회를 시작했다.
이미지 확대
정관채 염색장이 만든 쪽빛 무명천으로 감싼 에그 의자.
정관채 염색장이 만든 쪽빛 무명천으로 감싼 에그 의자.
1872년 덴마크에서 시작한 프리츠한센은 가구, 조명, 액세서리 디자인으로 유명한 세계적인 브랜드이다. 국내에서도 감성 인테리어 소품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프리츠한센 주요 컬렉션과 함께 무형문화재 공예 장인 4명과 디자이너 3인이 참여한 ‘코리아 프로젝트’가 눈길을 끈다. 국가무형문화재 서신정 채상장, 정관채 염색장, 정수화 칠장, 최정인 서울시무형문화재 자수장이 프리츠한센의 제품에 한국 고유의 디자인을 접목시켜 새로운 형태로 탄생시켰다. 서 채상장은 얇게 저민 대나무 껍질에 물을 들여 기하학적 무늬를 엮은 뒤 데이베드나 테이블과 결합시킨 작품을 선보였고 정 염색장은 쪽으로 염색한 짙은 쪽빛 무명천으로 감싸 프리츠한센의 대표 제품인 에그 의자를 새롭게 표현했다. 최 자수장은 의자 한쪽에 초충도를 수놓은 작품을 내놨고 정 칠장은 옻칠과 나전 기술을 프리츠한센 대표 컬렉션에 결합시켜 한국 고유의 아름다움이 더해진 새로운 북유럽 스타일 가구디자인을 만들어 냈다.
이미지 확대
최정인 자수장이 스완 의자에 초충도를 수놓았다.
최정인 자수장이 스완 의자에 초충도를 수놓았다.
다소 협소한 공간에서 많은 것들을 보여 주려다 보니 관람에 불편한 점을 느낄 수도 있다. 또 가구 잡화를 바탕으로 한 전시회이기 때문에 비싼 가구전시장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 수도 있겠지만 일상이 예술이라는 말처럼 산업디자인이나 예술작품을 감상한다고 생각하면 거부감은 줄어들 것이다.

전시를 기획한 차정욱 디렉터도 이를 의식한 듯 “이번 전시는 단순히 프리츠한센의 제품을 소개하는 것이 아니라 한국의 장인들과 디자인이 서구의 가구 잡화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보여 주기 위한 것”이라며 “일상에서 느낄 수 있는 아름다움과 즐거움이 무엇인지 생각할 수 있는 기회가 됐으면 한다”고 설명했다. 전시는 오는 12월 11일까지.


문성호 서울시의원 “연희동 견고한 폭우 방어 태세, 연희1구역재개발조합이 주민 안전 보장 확실한 기여”

문성호 서울시의원(국민의힘, 서대문2)이 2년 전 폭우로 축대가 붕괴하는 사고가 발생했던 연희동 주민들이 이번 폭우로 지반 붕괴 등을 우려하는 민원을 전함에 있어, 직접 순찰한 결과 현재 문제는 전혀 발생하지 않았으며 특히 경사가 가파른 지역인 홍제천로2길 일대의 안전을 위해 연희동 연희1구역재개발조합에서 방벽 공사 및 기반 시설 보강으로 견고한 대비가 구축되었음을 전했다. 문 의원은 “2년 전 여름, 폭우가 쏟아지는 중에 연희동에서는 축대가 무너지는 심각한 사고가 발생한 바 있다. 다행히 매몰되거나 사고를 입은 주민은 없었으나, 인근 주민들이 대피하는 등 삶에 충격을 가했다. 그러한 사고가 있었기 때문인지 폭우경보가 있는 날이면 연희동 해당 일대 주민들의 우려가 늘 들려온다”고 설명했다. 이어서 문 의원은 “특히 연희동 홍제천로2길 일대는 경사가 가파른 탓에 폭우가 쏟아지는 날에는 물줄기 역시 빠르고 강한 힘으로 쏟아져 내려오기에 매우 위험함은 모두가 익히 아는 사실이다. 하지만 본 의원이 직접 야간에 현장을 순찰한 결과, 다행히도 미리 구축된 방벽과 벙커형 주차장의 견고하고 또 체계화된 물 빠짐 구간 구축으로 아무런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다”며 설명을
thumbnail - 문성호 서울시의원 “연희동 견고한 폭우 방어 태세, 연희1구역재개발조합이 주민 안전 보장 확실한 기여”

사진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제공

2022-11-14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