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 사진.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음. 픽사베이
남편과 입맞춤한 후 입에서 찌릿한 느낌을 받고 병원을 찾았다가 암 진단을 받은 호주 여성의 사연이 전해졌다.
최근 더선 등 외신에 따르면 호주 시드니에 사는 사라 수삭(48)은 2017년 남편과 키스한 후 입에 날카로운 전류가 흐르는 듯한 느낌을 받았다.
따끔거리는 증상이 일주일 동안 사라지지 않자 수삭은 병원을 찾았다. 처음엔 신경통 진단을 받았으나 이후에도 증상은 나아지지 않았다.
수삭은 이번엔 이비인후과 전문의를 찾았고, 입 안에서 큰 종양이 자라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조직 검사를 받은 수삭은 샘낭암종 진단을 받았다. 침샘에서 주로 발생하는 악성 종양이다.
수삭은 암세포가 온몸으로 퍼지는 걸 막기 위해 얼굴과 입천장을 절개하는 수술을 했다. 의료진은 이 과정에서 시력과 청력을 잃을 수 있다고도 했다. 19시간에 걸친 수술 끝에 의료진은 수삭의 다리 피부와 종아리뼈를 이용해 입천장과 턱을 재건했다.
이후 수개월간 방사선 치료를 받은 수삭은 턱 뼈 조직이 괴사하는 증상 때문에 5년간 병원에 오가야 했다. 이후 수삭은 완치 판정을 받았다.

호주 시드니에 사는 사라 수삭. 사라 수삭 인스타그램 캡처
하지만 시련은 암 완치 판정을 받은 지 7년 만에 다시 찾아왔다. 암이 폐 한쪽에 전이돼 수삭은 다시 수술대에 올랐다. 종양 제거 수술을 받은 지 일주일 만에 온몸이 마비되는 듯한 느낌과 심한 오한에 시달린 수삭은 또다시 응급실을 찾았고, 병원에서는 공황 발작이라고만 진단했다.
수삭은 목 아래 부위가 마비돼 숨을 쉴 수 없어 기관 절개술을 받은 후 몇 주간 중환자실에 머물렀다. 알고 보니 수삭은 길랭-바레 증후군을 앓고 있었다. 이는 말초신경계에 손상이 생기면서 급성 마비 증상이 나타나는 염증성 질환이다.
사라가 의식을 회복했을 때 의료진은 1년간은 병원에 입원해야 할 것이라고 했지만 수삭은 두 달 반 만에 퇴원했다. 수삭은 6개월간의 재활 치료를 받으며 걷는 법과 삼키는 법을 다시 연습해야 했다.
수삭은 힘겨운 시간을 버틸 수 있었던 원동력으로 명상을 꼽았다. 그는 “명상은 첫 수술 후 몇 년 동안 겪은 기복을 이겨낼 수 있게 해줬다”면서 “주변의 모든 혼란에 대처하고 자신을 치유하는 능력을 키우는 데 정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걸 깨달았다”고 전했다. 그는 현재 다른 사람들에게 명상을 가르치며 본인이 건강을 회복할 수 있었던 경험을 공유하고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