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년째 이어져 온 아이돌 열풍이 수그러들고 가요계에는 거장과 오디션 스타가 공존하는, 바야흐로 ‘다양성의 시대’가 열렸다. 그런 가운데 실력파 뮤지션들의 새로운 시도가 담긴 앨범들이 하나둘 발매돼 눈길을 끈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한국 모던록의 거장 이승열(왼쪽)이 지난달 23일 발매한 새 앨범 ‘V’는 형식과 원칙을 벗어나 음악적 자유를 찾는 ‘실험정신’을 가득 담았다. 공연장의 ‘울림’을 충실히 담기 위해 스튜디오가 아닌 서울 서교동의 클럽 ‘벨로주’에서 주요 곡들을 녹음한 것도 그렇다. 국내 음반 최초로 베트남 전통 악기 ‘단바우’를 동원해 이국적 정취를 가미한 것도 실험적이다.
‘응답하라 1997’에 화답하듯 이기찬도 돌아왔다. 지난달 24일 발매한 11집 ‘트웰브 히츠’(Twelve Hits)는 국내 최초로 시도되는 ‘빅밴드 재즈’ 앨범이다. ‘빅밴드 재즈’는 스윙재즈나 댄스 음악을 10명 이상의 대규모 오케스트라 악단이 연주하는 재즈 스타일. ‘그댄 행복에 살텐데’(원곡 리즈)를 비롯해 ‘그때 그 사람’(원곡 심수봉), ‘첫 인상’(원곡 김건모) 등 신곡이 아닌 리메이크곡이어서 더 친숙한 느낌이다. 이제는 가요계의 주요 포스트를 차지한 ‘홍대 여신’들, 그중에서도 대표주자인 싱어송라이터 한희정(오른쪽)은 5일 2집 ‘날마다 타인’을 내놓는다. 귀여운 얼굴에 통기타를 둘러메고 특유의 맑은 음색을 선보이던 지금까지의 이미지와는 많이 달라졌다. 재기발랄한 디스코(타이틀곡 ‘흙’), 50인조 오케스트라(나는 너를 본다) 등 기존 어쿠스틱 외에 다채로운 색깔의 곡들로 채워졌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3-06-03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글로벌 AI 서비스 업체들이 성적인 대화, 성애물 등 ‘19금(禁)’ 콘텐츠를 본격 허용하면서 미성년자 접근 제한, 자살·혐오 방지 등 AI 윤리·규제 논란이 한층 가열되고 있다. 챗GPT 개발사인 오픈AI도 ‘GPT-4o’의 새 버전 출시 계획을 알리며 성인 이용자에게 허용되는 콘텐츠 범위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19금 대화가 가능해지는 챗GPT에 대한 여러분은 생각은 어떤가요?